• 동두천 15.1℃흐림
  • 강릉 15.7℃흐림
  • 서울 16.5℃흐림
  • 대전 19.4℃흐림
  • 대구 19.1℃흐림
  • 울산 19.5℃흐림
  • 광주 22.1℃흐림
  • 부산 21.7℃흐림
  • 고창 23.2℃구름많음
  • 제주 26.3℃맑음
  • 강화 15.4℃흐림
  • 보은 18.0℃흐림
  • 금산 19.7℃구름많음
  • 강진군 23.0℃흐림
  • 경주시 18.6℃흐림
  • 거제 21.8℃흐림
기상청 제공

2025.10.28 (화)

오픈AI, 미 정부에 ‘AI 경쟁용 전력 대전환’ 촉구

AI 경쟁은 전력전…오픈AI, “미국 전력 확충 없인 중국에 뒤처진다”
중국은 429GW, 미국은 51GW…‘전자 격차’가 AI 패권 가른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전자는 새로운 석유(Electron is the new oil)."

 

오픈AI가 미국 정부를 향해 던진 메시지는 단순한 기술 제안이 아니라, 국가 전략의 근간을 바꾸자는 요구였다. AI 개발 경쟁의 본질이 더 이상 알고리즘이나 반도체가 아닌, 전력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10월27일(현지시간) CNBC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미국이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에서 중국을 앞서려면 새로운 에너지 생산 능력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최근 수개월간 데이터센터 확충, GPU 서버 확대, 전력 공급망 강화 계약을 연이어 체결하며 ‘AI 연산력 인프라=전력 인프라’라는 공식 아래 움직이고 있다.

 

오픈AI는 이날 성명에서 “전기는 AI 인프라 구축의 핵심 자원이며, 공공서비스가 아니라 국가의 전략적 자산(Strategic Asset)”이라고 규정했다. AI 모델이 대규모로 학습하고, 초거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현재 오픈AI의 모델(예: GPT 시리즈, Codex, Sora 등)은 수천 대의 GPU 서버를 통해 학습되는데, 단일 학습 세션에 필요한 전력량이 소형 도시 수준에 이른다. 특히 차세대 초거대 AI 모델(Frontier Model)로 갈수록, 전력 수요는 현재의 10배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오픈AI는 “AI 경쟁력은 전력 확보력에 달렸다”며, AI 인프라를 국가 기간전력망의 일부로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AI=디지털 산업’이 아닌 ‘AI=에너지 집약형 산업’으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을 촉구한 셈이다.

 

오픈AI가 제시한 수치는 충격적이다. 중국은 지난해 429기가와트(GW)의 신규 발전 용량을 확보했지만, 미국은 51GW에 그쳤다. 이는 중국이 미국보다 8배 이상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했다는 의미다.

 

오픈AI는 이 격차를 ‘전자 격차(Electron Gap)’라 부르며, “미국이 이 추세를 방치하면 AI 경쟁에서 구조적 열세에 놓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회사는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에 제출한 11페이지 분량의 제안서에서 미국이 매년 100GW의 신규 발전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가와트 단위로 보면, 10GW는 약 800만 가정이 1년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 즉, 오픈AI의 제안은 ‘AI 전력 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매년 8천만 가정분의 에너지를 새로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AI의 핵심 경쟁 요소는 점점 ‘모델 크기’와 ‘컴퓨팅 파워’,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전력 수급 안정성’으로 이동하고 있다. 반도체나 알고리즘이 아무리 뛰어나도, 전력을 확보하지 못하면 학습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원자력·재생에너지 기반 데이터센터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풍력·태양광 발전소를 자체 조달 중이며, 구글은 2030년까지 ‘24/7 탄소중립 전력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AI 모델 하나의 학습 과정이 500만 kWh를 초과하는 현실에서, AI 기업이 에너지 기업이 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오픈AI가 말한 “전자는 새로운 석유”라는 표현은, AI가 산업의 중심이자 국가 전력 전략의 핵심 축이 되었음을 공식화한 선언에 가깝다.

 

AI 경쟁은 더 이상 기술력만의 싸움이 아니다. 이제는 ‘전력(에너지)–반도체(연산력)–정책(규제·투자)’의 삼각축이 국가 AI 경쟁력을 결정한다. 오픈AI의 제안은 단순한 민간기업의 요구가 아니라, 미국이 중국과의 AI 주도권 경쟁에서 “산업혁명급 전력 재편”을 단행해야 한다는 경고다.

 

AI 산업이 국가 에너지 정책과 직접 연결되는 순간, ‘AI는 기술이 아니라 인프라’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한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