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스마일게이트가 한국형 공포게임 프로젝트의 첫 결실을 내놨다. 스마일게이트는 10월29일 공포 어드벤처 신작 ‘골목길: 귀흔(Ghost Alley: Trace of Fear)’을 자사 플랫폼 ‘스토브(STOVE)’를 통해 정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작품은 스마일게이트가 “K-공포의 세계화”를 목표로 추진한 전략적 IP 육성 프로젝트의 첫 타이틀로, 국내 VR·XR 전문 개발사 에이아이엑스랩(AIXLAB)이 개발을 맡았다. ‘골목길: 귀흔’은 AIXLAB이 그간 쌓아온 VR·AR·XR 콘텐츠 제작 노하우를 전통적 PC 패키지 공포 장르로 확장한 첫 작품이다. AIXLAB은 ‘흉가 VR’, ‘금지된 예술 VR’ 등으로 이미 국내 공포 콘텐츠 시장에서 몰입형 서사 구현 능력을 인정받았다. 이 회사는 한국콘텐츠진흥원 ‘2025년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사업’ 선정작으로 개발을 이어왔으며, 이후 스마일게이트와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며 제작에 속도를 냈다. 게임의 배경은 늦은 밤, 끝없이 이어진 서울의 골목길. 플레이어는 귀가하던 중 초자연적 현상 ‘귀흔(鬼痕)’과 허깨비가 뒤섞인 공포의 공간에 갇히게 된다. 이용자는 사운드와 조명, 시선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J.P. Morgan) 이 한국 증시에 대해 사상 최고 수준의 낙관 전망을 제시했다. 10월28일(현지시간) JP모건은 보고서를 통해 “강세장 시나리오에서는 코스피 6000포인트도 가능하다”며 12개월 목표치를 기존 4300선에서 5000포인트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한국 증시가 단기 급등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조적 상승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분석에 근거한다. 특히 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한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 해소 기대감이 아직 주가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이 주요 논거로 제시됐다. ■ "디스카운트 해소 모멘텀, 아직 반영 전"정책 신뢰 회복이 핵심 JP모건은 보고서에서 “한국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 자사주 소각, 배당 확대 정책 등 기업가치 제고 정책이 본격화되면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입될 것”이라며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가 증시 체질을 바꿀 핵심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정책효과가 실물지표와 기업 실적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KOSPI의 상승 밸류에이션(Valuation Expansion)은 충분히 정당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단기 조정은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삼성전자가 극한의 기후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난방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냉난방 기술 개발을 위해 일본 최북단 지역인 훗카이도 아사히카와에 ‘삼성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테스트 랩’을 설립했다. 아사히카와는 겨울철 최저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지고, 월 누적 적설량이 최대 127cm에 달하는 혹한∙강설 지역이다. 삼성전자는 이 지역의 기후 특성을 활용해 냉난방기의 핵심 기술인 제상 시스템과 고효율 히트펌프 솔루션의 신뢰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제상 시스템은 냉난방기의 열교환기에 쌓이는 성에를 제거하는 기술로, 난방 운전 중 응축된 수분이 열교환기에 얼어붙으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냉난방기는 열교환기의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고 적절한 시점에 제상 운전을 실행해야 한다. 삼성전자는 성에의 형태를 학습해 최적의 제상 시점을 판단하는 기술을 개발해왔으며, 이를 통해 난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인 제품을 한국, 북미, 유럽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이번 테스트 랩에서는 이러한 기술의 실험과 검증을 통해 더욱 효과적인 제상 성능을 구현하는 데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전자가 세계의 눈이 집중된 APEC CEO 서밋 무대에서 ‘트라이폴드폰(Trifold Phone)’ 실물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10월28일 오전9시 경북 경주 엑스포공원 에어돔에서 열린 ‘K-테크 쇼케이스’ 삼성전자 부스에는 일반 소비자와 글로벌 CEO들이 몰려 ‘폴더블의 진화형’ 트라이폴드폰 실물을 직접 목격했다. ■ 두 번 접는 ‘트라이폴드’, 폴더블 한계를 넘다 이번에 공개된 트라이폴드폰은 두 개의 힌지(경첩) 구조로 기존 폴더블폰과 명확히 구분된다. 화면을 완전히 펼쳤을 때는 약 10인치 태블릿 수준으로 확장돼,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경계를 허물었다. 외부 화면은 약 6.5인치로 갤럭시 폴드 시리즈와 유사하지만, 접었을 때는 세 장의 화면이 옆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제품은 유리 전시관 속 실물 전시 형태로 공개돼 직접 사용은 불가했으나, “삼성의 차세대 폼팩터 비전을 실물로 확인했다”는 업계 평가가 나왔다. ■ 출고가 300만원대 후반 전망…‘프리미엄 기술 과시용’ 삼성전자는 이번 트라이폴드폰을 연내 출시할 예정으로, 초기 생산량은 5만~10만 대 수준으로 알려졌다. 출시 국가는 폴더블 수요가 높은 한국·중국 등 일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사우디아라비아를 전격 방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첫 단독 회동을 가졌다. 이번 만남은 사우디의 경제 대전환 프로젝트 ‘비전 2030’과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전략이 본격적으로 접점을 찾는 상징적 행보로 평가된다.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10일 넘게 이어진 글로벌 순방의 마지막 일정이기도 하다. ■ 사우디 첫 단독 회동…'비전 2030'과 현대차의 교집합 정 회장과 빈 살만 왕세자는 10월27일(현지시간) 리야드 리츠칼튼 호텔에서 만나 사우디 자동차 산업 육성과 스마트시티 협력, 차세대 에너지 분야를 폭넓게 논의했다. 현대차가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 내에 건설 중인 현지 생산법인(HMMME)을 중심으로 한 협력 방안도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정 회장은 “현대차는 사우디 고객의 니즈에 맞춘 특화 설비를 적용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에 따라 생산능력 확대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HMMME는 중동 지역 최초의 현대차 생산 거점으로 내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연간 5만대 규모로 생산할 예정이다. 빈 살만 왕세자의 ‘비전 2030’은 사우디 경제를 석유 중심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전기가 올해 3분기 산업·전장용 부품과 AI 서버용 고부가 제품 수요 확대에 힘입어 실적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핵심 사업인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와 패키지 기판(FC-BGA) 부문의 ‘투톱 성장’이 영업이익 반등의 동력이 될 것으로 증권가는 분석했다. 국내 주요 증권사 10곳의 실적 전망을 집계한 결과, 삼성전기의 3분기 매출액은 2조8448억 원, 영업이익은 2534억 원으로 추정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12.7% 증가한 수치다. ■ MLCC, AI·전장용 고수익 제품으로 ‘체질 전환’ 삼성전기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하는 컴포넌트(부품)사업부가 실적 반등을 주도할 전망이다. 이 부문에서 주력 제품인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적층세라믹콘덴서)는 3분기에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관측된다. MLCC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CPU·GPU 등 반도체 칩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필수 부품이다. 스마트폰 1대에는 약 1,000개, 전기차 1대에는 수만 개가 탑재되며, 최근에는 AI 서버용 MLCC 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AI 서버와 전장용 수요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주도하는 ‘비전 2030(Vision 2030)’은 석유 중심의 경제 구조를 탈피해 산업 다각화와 첨단 기술 중심의 신경제 체제를 구축하려는 국가 대전환 전략이다. 2016년 4월 공식 발표된 이후, 사우디 정부는 ‘석유 이후(Post-Oil)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정치·경제·사회 전 분야의 구조개혁을 추진 중이다. ■ 핵심 목표: ‘脫석유’·‘산업 다변화’·‘국부펀드 중심 성장’ 비전 2030의 가장 큰 목표는 석유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산업기반을 다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우디 정부는 △정보통신기술(ICT) △미래형 모빌리티 △신재생에너지 △관광·엔터테인먼트 △첨단 제조업 등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특히 사우디 국부펀드(PIF·Public Investment Fund) 가 전략적 투자 플랫폼 역할을 맡아, 각종 ‘기가 프로젝트(Giga Project)’를 주도한다. 이들 프로젝트는 100억 달러(약 14조 원) 이상 규모의 초대형 국가 사업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와 일자리 창출, 첨단 산업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 대표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비롯한 국내 4대 그룹 총수가 경주로 향한다. 이들과 함께 엔비디아, 아마존웹서비스(AWS), 씨티그룹, OECD 등 전 세계 1700여 명의 글로벌 CEO와 국제기구 수장이 대한민국에 집결한다. 10월28일부터 31일까지 나흘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Summit)’은 단순한 회의가 아닌, 정부와 시장, 현실과 이상을 연결하는 ‘브릿지(Bridge)’의 장이자, 혁신 성장의 실천 주체(비즈니스, Business), 그리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담대한 도전(Beyond)을 상징하는 자리다. ■ 이재용·최태원·정의선·구광모 총출동…‘K-경제 리더십’ 집결 국내 재계는 이번 행사를 ‘K-산업 외교전’의 하이라이트로 본다. 의장인 최태원 SK 회장을 중심으로 이재용 삼성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가 전면에 나서며 민관 협력의 메시지를 직접 발신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AI, SK는 배터리·에너지, 현대차는 모빌리티, LG는 디지털·ESG를 중심으로 각자의 혁신 전략을 공유할 예정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전자가 엔비디아(NVIDIA)와 손잡고 ‘AI가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산하는 시대’를 앞당긴다. 삼성은 엔비디아 GPU 5만개를 투입한 ‘AI 팩토리’를 구축해 반도체 개발·양산·품질관리 전 과정에 AI를 적용, 업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제조 생태계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단순한 생산 효율화가 아니라 AI 기반 반도체 제조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평가된다. ■ 엔비디아 GPU 5만개 투입…‘AI 팩토리’ 본격 가동 삼성전자는 AI 기반 제조혁신을 목표로, 엔비디아 GPU 5만개 이상을 도입해 AI 팩토리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삼성의 종합반도체 역(Foundry+Memory+System LSI)과 엔비디아의 AI 컴퓨팅 기술을 결합해 설계·공정·품질관리 등 전 제조단계를 AI로 자동화·고도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AI 팩토리를 통해 반도체 개발 및 양산 주기를 단축하고, 제조 효율과 품질 경쟁력을 혁신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삼성은 이를 “AI로 반도체를 만드는 공장(AI-driven Semiconductor Factory)”이라고 정의하며, 향후 글로벌 생산거점으로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 삼성, 엔비디아에 HBM4·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SK네트웍스가 국내 유력 미디어렙사인 인크로스(216050)를 인수하며 AI 중심 사업지주회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나선다. SK네트웍스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SK스퀘어가 보유한 인크로스 지분 36.06%(463만1251주)를 392억 원에 매수하기로 의결했으며, 이에 따라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인크로스는 디스플레이 광고(DA), 검색광고(SA), 커머스렙 등 다양한 광고 상품을 제공하는 국내 3대 미디어렙사 중 하나로, 광고 운영 전반을 지원하는 강점을 지닌 기업이다. SK네트웍스는 자사의 AI 및 데이터 관리 역량을 활용해 인크로스의 AI 트랜스포메이션(AX)을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이번 인수를 결정했다. 특히 SK인텔릭스, SK스피드메이트, 워커힐, 민팃 등 다양한 B2C 사업과 인크로스의 광고·커머스 역량이 결합해 소비자 접점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 광고 시장이 연평균 5%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SK네트웍스는 퍼포먼스 광고, 동영상, 숏폼 콘텐츠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확장을 통해 인크로스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