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1℃흐림
  • 강릉 15.7℃흐림
  • 서울 16.5℃흐림
  • 대전 19.4℃흐림
  • 대구 19.1℃흐림
  • 울산 19.5℃흐림
  • 광주 22.1℃흐림
  • 부산 21.7℃흐림
  • 고창 23.2℃구름많음
  • 제주 26.3℃맑음
  • 강화 15.4℃흐림
  • 보은 18.0℃흐림
  • 금산 19.7℃구름많음
  • 강진군 23.0℃흐림
  • 경주시 18.6℃흐림
  • 거제 21.8℃흐림
기상청 제공

2025.10.31 (금)

SK·엔비디아, 아시아 첫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최태원-젠슨 황 회동, ‘Physical AI’ 생태계 조성 협력
옴니버스 기반 제조 시뮬레이션·AI 팩토리로 효율 극대화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SK그룹이 국내 제조업의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AI 강자 엔비디아(NVIDIA)와 손잡았다. 양사는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와 제조 AI 플랫폼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해 아시아 최초로 ‘제조 AI 클라우드(Manufacturing AI Cloud)’를 구축한다.

 

10월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 APEC CEO 서밋’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Physical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Startup Alliance)’ 협력방안과 국내 제조 AI 생태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SK는 이번 협력을 통해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 외부 기관에도 제조 AI 클라우드를 개방해, 한국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옴니버스는 엔비디아의 3차원(3D) 가상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 실제 제조공정을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형태로 구현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다. SK는 이를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형태로 일원화하여 구축·운영·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으로, 해외 데이터센터 의존 없이 자체 AI 인프라를 확보하게 된다.

 

제조 AI 클라우드는 SK하이닉스가 도입하는 엔비디아 최신 GPU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2000여 장을 기반으로 이천캠퍼스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에서 운영된다. SK텔레콤이 클라우드 구축과 서비스를 맡아, 향후 정부·공공기관 및 스타트업이 직접 AI 시뮬레이션 환경을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할 방침이다.

 

엔비디아는 GPU 공급을 넘어 소프트웨어 최적화, AI 모델 학습·추론, 시뮬레이션 튜닝 등 기술 협력을 함께한다. 이번 협력으로 고비용과 장비 수급 문제로 AI 도입에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제조기업들이 현실적 AI 솔루션을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한편, SK는 엔비디아와 함께 5만 장 규모의 GPU를 탑재한 초대형 AI 인프라 ‘AI 팩토리(AI Factory)’를 국내에 구축한다. 이 팩토리는 제조 AI 클라우드와 울산의 100MW급 AI 데이터센터를 포함해,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는 핵심 프로젝트로 꼽힌다.

 

최태원 회장은 “AI는 산업의 규모·속도·정밀도를 새롭게 정의할 기술”이라며 “SK는 엔비디아와 함께 AI를 국내 산업 혁신의 엔진으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젠슨 황 CEO 역시 “AI 팩토리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공장”이라며 “SK는 엔비디아의 핵심 메모리 파트너이자, 한국 AI 생태계를 이끄는 중요한 동반자”라고 강조했다.

 

또한 SK텔레콤은 이날 엔비디아와 ‘AI-RAN(무선접속네트워크)’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AI-RAN은 6세대(6G) 이동통신 핵심기술로, 대용량 AI 데이터를 초고속·저지연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 ETRI, 연세대 등과 함께 실증 및 상용화를 추진하며 한국을 글로벌 AI-RAN 검증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