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1℃흐림
  • 강릉 15.7℃흐림
  • 서울 16.5℃흐림
  • 대전 19.4℃흐림
  • 대구 19.1℃흐림
  • 울산 19.5℃흐림
  • 광주 22.1℃흐림
  • 부산 21.7℃흐림
  • 고창 23.2℃구름많음
  • 제주 26.3℃맑음
  • 강화 15.4℃흐림
  • 보은 18.0℃흐림
  • 금산 19.7℃구름많음
  • 강진군 23.0℃흐림
  • 경주시 18.6℃흐림
  • 거제 21.8℃흐림
기상청 제공

2025.10.28 (화)

APEC CEO 서밋, 'K-산업 외교의 장' 된다

1700명 글로벌 리더 집결…K-테크·K-비즈니스 미래 청사진 제시
이재용·최태원·정의선·구광모 총출동…한국 산업의 미래 설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을 비롯한 국내 4대 그룹 총수가 경주로 향한다. 이들과 함께 엔비디아, 아마존웹서비스(AWS), 씨티그룹, OECD 등 전 세계 1700여 명의 글로벌 CEO와 국제기구 수장이 대한민국에 집결한다.

 

10월28일부터 31일까지 나흘간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리는 ‘APEC CEO 서밋(Summit)’은 단순한 회의가 아닌, 정부와 시장, 현실과 이상을 연결하는 ‘브릿지(Bridge)’의 장이자, 혁신 성장의 실천 주체(비즈니스, Business), 그리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담대한 도전(Beyond)을 상징하는 자리다.

 

■ 이재용·최태원·정의선·구광모 총출동…‘K-경제 리더십’ 집결

 

국내 재계는 이번 행사를 ‘K-산업 외교전’의 하이라이트로 본다. 의장인 최태원 SK 회장을 중심으로 이재용 삼성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가 전면에 나서며 민관 협력의 메시지를 직접 발신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AI, SK는 배터리·에너지, 현대차는 모빌리티, LG는 디지털·ESG를 중심으로 각자의 혁신 전략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한자리에 모이는 글로벌 CEO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맷 가먼 AWS CEO,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은 AI·디지털 전환·기후 대응 등 글로벌 어젠다에 대한 한국의 역할을 논의할 핵심 파트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서밋은 재계 총수들이 국제무대에서 ‘K-테크(K-Tech)’와 ‘K-비즈니스’의 브랜드 파워를 직접 증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AI·기후·투자·헬스까지…20개 세션, 산업 전 분야 망라

 

올해 APEC CEO 서밋은 총 20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AI·디지털 경제, 지역 경제통합, 지속가능성, 금융·투자, 바이오·헬스 등 산업과 기술, 정책을 잇는 다층적 논의 구조가 특징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연설을 비롯해, APEC 주요 회원국 정상들의 기조연설도 예정돼 있다.

 

특히 OECD 사무총장과 글로벌 빅테크 CEO들이 참여해 ‘AI와 인류의 공존’, ‘지속가능한 성장의 조건’, ‘기후금융의 역할’ 등 국경 없는 협력 모델을 제시할 전망이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단순한 투자 유치나 교역 논의 수준을 넘어, 기술·정책·산업을 포괄하는 글로벌 협력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 ‘K-테크 쇼케이스’와 ‘퓨처테크 포럼’…한국 산업의 미래 설계도

 

이번 서밋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퓨처 테크 포럼(Future Tech Forum)’과 ‘K-테크 쇼케이스’다. 이는 과거 APEC 행사에서는 볼 수 없었던, 한국이 주도하는 혁신 산업 전시 및 토론 세션이다.

 

삼성전자, LG전자, SK, 현대차 등이 참여해 반도체·AI·조선·방산 등 차세대 기술력과 산업경쟁력을 세계무대에 선보인다. 한 재계 관계자는 “단순한 기술 홍보가 아니라, 한국이 글로벌 산업 구조 재편의 핵심 축으로 부상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무대”라고 강조했다.

 

이번 CEO 서밋은 단순한 ‘정상 외교 행사’가 아니다. 정책(Policy)·시장(Market)·기업(Business)이라는 세 축을 동시에 연결하는 전략적 시험대다. 정상회의가 정치·외교적 담론이라면, CEO 서밋은 정책을 현실로 구현할 ‘시장 언어’로 번역하는 장이다. 한국은 이번 행사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중심국이자, 혁신 생태계의 플랫폼 국가”로 자리매김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행사가 끝난 이후, AI·반도체·배터리·ESG 등 분야에서 국제 공동연구·투자협약이 연이어 발표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보고 있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