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10.05 (일)

증권가, 한은 금리인하 전망 11월로 또 후퇴... 부동산 발목 잡나

이창용 "금리 인하 시그널로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고생"
증권가 연구원들, 한은 강경 발언에 금리 인하 어렵다 판단
미국 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도 한국은 어렵다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애초 이달로 점쳐왔던 증권가가 최근 들어 '11월 인하'로 대거 선회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의 과열 해소와 금융 안정에 무게를 두는 한국은행 주요 인사들의 잇따른 발언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당초 채권 전문가들은 올해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이 결정됐을 당시만 해도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봤다.

 

부동산 시장이 주요 변수이긴 하지만 미국발 관세로 인한 기업 심리 위축과 수출 하락 문제 등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달 이 총재를 비롯, 한은발 매파적발언이 연거푸 나오자 최근 들어 10월 인하도 물 건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이 총재는 지난달 16일 서울대 경제학부 주최로 열린 특강을 통해 "금리 0.25%p 인하를 한두 달 미뤄도 경기를 잡는 데는 큰 영향이 없는데, 금리 인하 시그널로 서울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더 큰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했다.

 

이어 이틀 뒤인 18일 미국 워싱턴 D.C IMF본부 방문 당시에는 "중립 금리를 고려할 때 금융 안정을 전체적으로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다른 나라보다 약간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더욱이 시장의 관심이 쏠린 인물은 신성환 금융통화위원이었다.

 

이목을 끈 것은 "금융 여건 완화과정에서 금융 불균형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거시건전성 정책의 강화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발언으로, 지난달 25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실렸다.

 

8월 금통위 회의 때 성장을 우려해 기준금리 인하로 소수의견을 제시했기에 시장은 신 위원의 기조 변화에 더욱 촉각을 세웠다.

 

이처럼 한은이 통화정책의 방점을 금융 안정에 분명하게 찍었지만, 주택시장은 강남 등 일부 지역의 가격 상승이 지속되며 과열이 식지 않는 분위기다.

 

지난달 발표된 소비자동향조사에서 9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하락했으나 주택가격전망지수는 오름세를 지속해 향후에도 주택가격이 쉽게 잡히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