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정부가 내년 총 2만9천호 규모의 공공분양주택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공급 물량(2만2천호) 대비 32.2% 늘어난 수준으로, 국토교통부는 “판교급 신도시 한 개를 새로 조성하는 규모”라고 강조했다. 공급 확대는 지난해 9·7대책에서 제시한 2만7천호보다 약 2천호 증가한 것이다.
이번 공급 계획에는 LH·SH·GH·iH 등 4개 공공기관이 참여하며, 최근 5년간 수도권 공공분양 평균 물량(약 1만2천호)의 약 2.3배에 달한다. 지역별 공급량은 △서울 1,300호 △인천 3,600호 △경기 2만3,800호로, 전체의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된다.
특히 3기 신도시에서만 7,500호가 쏟아진다. 고양창릉(3,881호), 남양주왕숙(1,868호), 인천계양(1,290호) 등이 대표적이다. 2기 신도시도 7,900호가 배정돼 평택고덕 alone에서 5,134호가 공급된다. 나머지 1만3,200호는 중소규모 택지지구에서 나온다.
정부는 이번 공급 물량 상당수가 GTX 노선과 광역도로망 등 교통 인프라 접근성이 뛰어난 지구에 배치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 중심으로 공급이 집중되면서 시장 수요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배성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서울 물량이 기존에 비해 늘어났을 것으로 보이나, 전체 물량 증가폭과 함께 판단해야 한다”며 “3기 신도시와 중소택지 가운데도 입지가 좋은 곳들이 다수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LH는 이날 4,100호 규모의 공공주택 공급을 위해 비주택용지를 주거용으로 전환하는 계획 변경안을 제출했다. 이는 내년 전체 공급 목표의 약 28%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정부는 내년 공공분양 확대를 통해 수도권 주택 수급 안정과 청년·신혼부부 중심의 내 집 마련 기회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