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세계 최대 헬스케어 기업 중 하나인 존슨앤드존슨(Johnson & Johnson, J&J)이 영국에서 3천명 규모의 집단소송(class action)에 직면했다. 소송의 핵심은 존슨앤드존슨의 베이비파우더에 포함된 활석(Talc) 성분 내 석면(Asbestos) 오염 가능성이다. 10월16일(현지시각) BBC에 따르면, 영국 로펌 KP 로(KP Law)는 "존슨앤드존슨이 1960년대 초부터 자사 활석 파우더에 석면 성분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에 이를 경고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소장에 따르면, 존슨앤드존슨은 활석 파우더에 트레몰라이트(Tremolite)와 액티놀라이트(Actinolite) 등 섬유형 광물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이 두 광물은 섬유 형태일 경우 석면으로 분류되며, 악성 중피종(Mesothelioma)과 같은 치명적인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회사는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고도 제품 포장에 경고 문구를 표기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순수함(purity)’과 ‘안전(safety)’을 강조한 마케팅을 수십 년간 지속했다는 것이 원고 측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 3700선을 돌파한 지 불과 하루 만에 3800선 돌파를 눈앞에 두며 폭등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쌍끌이 랠리’에 외국인 매수세가 더해지며 지수는 장중 3794.87까지 치솟았다. 10월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12시 2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5.36포인트(0.41%) 오른 3763.73을 기록 중이다. 장 초반에는 3732.76으로 출발해 3722.07까지 밀렸지만, 오전 9시 45분을 기점으로 강력한 상승 흐름을 보이며 한때 3794.87까지 급등했다. ■ 반도체주 폭등…삼성전자·SK하이닉스 “역대 최고가 경신” 지수 급등세의 중심에는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다. 삼성전자는 장중 9만9100원까지 올라 전날 기록한 역대 최고가(9만7700원)를 하루 만에 돌파했다. SK하이닉스는 47만5000원까지 오르며 기존 최고가(45만5000원)를 크게 경신했다. 이는 전날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1.10%)와 마이크론테크놀로지(+5.52%) 등 글로벌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AI(인공지능) 수요 확대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전반의 실적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BC카드는 10월17일 “뤼튼테크놀로지스에 가맹점 실시간 데이터 API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 15일 서울 중구 BC카드 본사에서 협약식을 열고, ‘가맹점 데이터 API 제공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BC카드 오성수 상무와 뤼튼 유영준 최고운영자(COO)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뤼튼은 BC카드의 AI 기반 맛집 추천 서비스 ‘eat.pl’을 자사 플랫폼에 탑재한다. ‘eat.pl’은 BC카드가 보유한 실시간 결제 데이터를 분석해 지역별 인기 맛집과 가맹점 정보를 추천하는 AI 서비스다. 지난 7월 글로벌 AI 서비스 ‘라이너(Liner)’가 이를 도입해 이용자 반응을 얻은 바 있다. BC카드는 결제 데이터에서 파생되는 ‘행동 기반 소비 데이터’를 AI 추천 서비스와 결합함으로써, 이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뤼튼은 ‘eat.pl’ 기능을 통해 사용자 검색 및 콘텐츠 생성 과정에서 지역·소비 기반 정보를 반영한 추천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뤼튼은 한국 시장에 특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로, 검색·글쓰기·업무 자동화 등 70여 가지 AI 기능을 제공한다.현재 월간 이용자 수(MAU)는 7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HD현대가 정기선 수석부회장을 신임 회장으로 선임하며 3세 경영 체제의 본격 가동을 알렸다. 이번 인사는 그룹의 대규모 합병과 조직 통합을 앞두고 ‘리더십 세대교체’를 통해 시너지 극대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HD현대는 10월17일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고, 정기선 수석부회장을 HD현대 회장으로 승진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정기선 회장은 그룹의 실질적 의사결정권자로서 미래 전략을 총괄하게 된다. ■ 정기선 회장, 3세 경영 ‘본격 시동’ 정기선 회장은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의 장남으로, 연세대 경제학과와 미국 스탠퍼드대 MBA를 졸업했다. 2009년 현대중공업 기획실 재무팀으로 입사한 이후 HD현대 경영지원실장, HD현대중공업 선박영업 대표, HD현대마린솔루션 대표이사를 거쳐 그룹 핵심 사업을 이끌었다. 그는 2016년 HD현대마린솔루션 설립을 주도, 2021년에는 두산인프라코어 인수 작업을 지휘하며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기여했다. 이후 수석부회장으로 승진해 조선, 해양, 에너지, AI 솔루션 등 미래 성장 축을 총괄하며 HD현대의 글로벌 확장 전략을 주도해왔다. 정 회장은 최근 미국 주요 인사들과 잇달아 회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연일 고공 행진을 이어가면서 주가 100만원을 넘는 ‘황제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연초 전무했던 황제주는 코스피 랠리와 업종별 실적 호조에 힘입어 어느새 4개 종목으로 늘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0월16일 종가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주가 100만원을 돌파한 종목은 △효성중공업(161만4,000원) △삼양식품(137만원) △고려아연(129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113만3,000원) 등 총 4개다. 이 중 효성중공업과 삼양식품은 올해 급등세를 주도하며 새로운 ‘황제주 클럽’으로 올라섰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현재 90만원대)와 태광산업(80만원대)도 한때 100만 원을 넘어서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 효성중공업·삼양식품 ‘신흥 황제주’ 부상 올해 새롭게 황제주 명단에 이름을 올린 대표 기업은 삼양식품이다. 불닭볶음면을 앞세운 K-푸드 열풍이 글로벌 시장을 강타하면서 해외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삼양식품 주가는 불과 2년 만에 10배 상승한 ‘텐베거(ten-bagger)’로, 지난 5월 처음 100만 원을 돌파했다. 9월에는 163만원까지 치솟았고, 연초 대비 상승률은 약 90%에 달한다. 효성중공업은 올해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KT 이동통신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규모가 최종 368명, 피해액 2억5000만원으로 확인됐다. KT는 "서울·인천·광명·부천 등 수도권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이 악용된 정황을 추가로 포착했다"고 10월17일 밝혔다. KT에 따르면 불법 펨토셀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로 발견돼 총 20개로 집계됐다. 이 펨토셀 ID 접속 이력이 있는 가입자는 2만2200여 명으로, 이 중 실제 결제 피해자는 368명으로 확정됐다. 이는 지난달 18일 KT가 잠정 발표했던 362명보다 6명이 늘어난 수치다. 추가 피해액 319만원을 포함하면 전체 피해액은 2억5000만원에 달한다. ■ “PASS·DCB 결제 이상”…1억5000만건 전수조사 KT는 이번 사건과 관련해 지난해 8월 1일부터 올해 9월 10일까지 약 1년간의 통신 과금 대행 결제 내역 1억5000만건을 전수 조사했다. 이 중 소액결제 8400만건, 통신사 직접 청구(DCB) 결제 6300만건이 포함됐다. KT는 전체 휴대전화와 기지국 간 4조300억건에 달하는 접속 기록을 전수 조사해, 불법 펨토셀을 탐지하고 해당 ID 접속 이력과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최근 주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용융자 잔고가 23조원을 돌파, 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하자 금융당국과 거래소가 투자자들에게 ‘레버리지 과열 주의보’를 발령했다.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는 10월17일 공동으로 발표한 입장문에서 “신용융자를 통한 투자는 면밀한 투자 판단과 위험 인식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며 “레버리지 투자는 주가 상승기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반대로 시장이 예측과 다르게 움직일 경우 손실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코스피·코스닥 랠리 속 신용거래 23조원… 1년새 49% 급증 올해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연초 대비 52%, 26% 상승하는 등 증시가 활황세를 이어가자, 투자자들의 신용융자 거래 규모도 빠르게 불어났다. 금투협에 따르면 신용융자 잔고는 지난해 말 15조8000억 원에서 약 49% 증가한 23조원을 넘어섰다. 금투협과 거래소는 이러한 증가세가 단순한 거래 확대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일부 투자자들이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에 나서는 점을 우려했다. 특히 청년층과 50~60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신용거래 이용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상환 능력을 초과한 투자는 시장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이 10월17일 "거래세·취득세·등록세는 낮추고 보유세는 올리는 방향으로 부동산 세제를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고가주택 대출 규제 등 고강도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보유세 강화론이 다시 부상하면서 향후 세제 개편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진 의원은 이날 YTN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에서 “부동산 세제의 큰 원칙은 ‘거래세는 낮추고 보유세는 높이자’는 것”이라며 “복잡하고 불합리한 현행 세제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공제 제도와 과세 표준이 지나치게 복잡하다. 시가가 아닌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고, 또 공정가액 비율을 적용하는 등 이중적 과세 구조가 만들어져 전문가조차 정확히 계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주택 총액 기준 누진 설계 필요"…현행 1주택 중심 구조 한계 진 의원은 현행 1주택자 면세 기준이 ‘똘똘한 한 채’ 쏠림 현상을 부추긴다고 꼬집었다. 그는 “1주택자는 면세가 되니 강남 고가 아파트로 수요가 집중돼 가격이 계속 오른다"며 "반면 여러 채를 보유해도 전체 자산이 고가 한 채보다 못한 사람은 중과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이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780선을 돌파하며 나흘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주의 강세가 시장을 견인하면서,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세가 맞물린 결과다. 10월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36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5.99포인트(0.96%) 오른 3784.77을 기록했다. 이는 3780선을 넘어선 첫 기록이자, 지난 사흘간의 최고치 랠리를 잇는 ‘4연속 신고가 행진’이다. 코스피는 이날 미국 지방은행 리스크 우려로 약세 출발했으나, 반도체·전기전자 업종 중심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전환했다. 장 초반 3732.76에 출발해 한때 3722.07까지 밀렸지만,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세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외국인 투자자는 440억 원, 개인은 619억 원을 순매수했으며, 기관은 1136억 원을 순매도했다. ■ 반도체 ‘투톱’ 질주… 삼성전자·SK하이닉스 역대 최고가 경신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나란히 사상 최고가를 새로 쓰며 시장 랠리를 주도했다. 삼성전자는 장중 한때 9만7,800원, SK하이닉스는 45만9,250원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17일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레일'에 1억1000만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그레일은 증상이 없는 사람의 혈액을 채취해 암을 조기 진단하는 기술울 보유한 업체다. 혈액 내 암과 연관된 미세 DNA를 선별한 후 AI 기반 유전체 데이터 기술로 분석해 암 발병 유무와 위치 예측도 가능하다. 그레일이 2021년에 출시한 제품 '갤러리(Galleri)'는 한 번의 혈액검사로 50여 종의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췌장암, 난소암 등 표준 선별 검사가 없는 암을 조기에 진단함으로써 치료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누적 검사 기록은 현재까지 약 40만건이며, 영국 국립보건서비스(NHS)와 대규모 임상을 진행 중이다. 그레일은 2026년 미국 FDA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이번 투자로 한국에서 갤러리 검사를 독점 유통할 권리를 확보했다. 삼성전자는 그레일의 기술력과 데이터를 삼성 헬스 플랫폼과 연계해 사용자의 건강 관리를 도울 예정이다. 김재우 삼성물산 라이프 사이언스 부문 부사장은 "삼성물산이 그레일과 협력함으로써 바이오/헬스케어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발판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박헌수 삼성전자 MX사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