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2024년 기준 장애인의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여전히 전체 인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지표는 남성에 비해 더욱 열악해, 성별에 따른 '이중 격차' 문제도 심각하게 지적되고 있다.
심각한 장애인 고용지표: 전체 인구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5.9%로, 전체 인구의 64.7%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고용률 역시 장애인은 34.5%에 그쳐 전체 인구 고용률(63.3%)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실업률에서도 장애인은 4.0%로 전체 인구(2.3%)보다 1.7%포인트 높았다. 이는 장애인이 노동시장에 참여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실제 취업까지 이어지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성별 격차 심화: 여성 장애인의 이중고
특히 성별에 따른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남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4.6%, 고용률은 42.6%였으나, 여성 장애인은 각각 24.2%와 23.5%로 남성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실업률의 경우 남성은 4.4%, 여성은 3.7%로 여성의 수치가 다소 낮았지만, 이는 경제활동 참가 자체가 극히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전체 인구에서 남녀 간 경제활동 참가율 격차는 약 16.5%포인트인 데 반해, 장애인구에서는 약 20.4%포인트로 격차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이처럼 장애인구의 성별에 따른 경제활동 참여 차이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는 것은 여성 장애인이 겪는 복합적인 사회적·경제적 장벽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포괄적 접근과 맞춤형 복지 강화 절실
전문가들은 "장애인의 노동시장 진입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장벽을 해소하지 않으면 수치 개선은 어려울 것"이라며, "직업훈련 강화, 근무환경 개선, 차별 없는 고용 문화 조성 등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은 여성 전체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이는 정책과 궤를 같이 한다. 즉,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 도입과 돌봄 서비스 확대 등 맞춤형 복지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이 병행될 때, 여성 장애인들도 보다 활발히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포용적 노동시장 구축을 위한 사회적 책임 강화
이처럼 장애인, 특히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현실은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애인의 노동권을 보장하고 잠재력을 사회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자체, 기업이 책임감을 갖고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제도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 라며, "포용적인 노동시장 구축을 위한 사회 전체의 관심과 정책적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