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정부가 공식적으로 "한국경제가 상반기 부진 국면을 벗어나 회복세로 전환됐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기획재정부는 10월호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소비·생산·투자 등 주요 지표가 전반적 개선 흐름을 보이며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소비 회복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만큼, 정책 효과가 약화되는 10월 이후 경기 회복세가 둔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 소비쿠폰 효과로 카드 승인액 급증…민간소비 개선세 뚜렷
기재부에 따르면 9월 국내 카드 승인액은 전년 동월 대비 8.5% 증가,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7월(6.3%)과 8월(5.0%)에 이어 3개월 연속 상승폭이 확대된 것이다. 이는 9월 소매판매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이 같은 반등을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로 해석하고 있다. 지난 7월부터 지급된 쿠폰은 외식·문화·숙박 등 내수 소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며, 소비심리 회복에 불씨를 당겼다는 평가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비쿠폰 정책이 가계 체감경기 회복을 촉진하면서 생산과 투자에도 긍정적 연쇄 효과를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정책효과 ‘한계 시점’ 도달…10월 이후 소비 둔화 우려
그러나 정부 안팎에서는 소비쿠폰 효과가 10월 이후 약화될 경우, 9월을 정점으로 소비 지표가 다시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건설투자 부진과 미국의 관세 강화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남아 있어, 내수만으로 회복세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정부는 민생회복 쿠폰 외에도 △상생페이백 확대 △대규모 할인행사 △온·오프라인 유통업계 협력 강화 등 다양한 소비 진작책을 연계해 내수 활성화 모멘텀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우리 경제는 오랜 부진에서 벗어나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소비·투자 등 경기 회복 모멘텀을 확산시켜 체감경기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 선행지수 9개월 연속 상승…“4분기 경기 반등 본격화 신호”
향후 경기 흐름을 예고하는 선행지표는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한국 경기선행지수(CLI)는 9월 기준 101.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 9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또 국가데이터처의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7·8월 두 달 연속 0.5포인트씩 상승하며 102.0을 기록, 2021년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민간 전문가들도 정부의 낙관론에 무게를 싣고 있다. 하반기 경기 흐름은 정책 지속성과 대외 변수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내수 회복세를 정책 효과로 유지하되, 수출 회복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경기 개선이 단기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다. 특히 미국의 관세정책과 글로벌 경기 둔화는 한국 수출의 하방 리스크로 남아 있어, 내수·수출 균형 회복 전략이 요구된다.
정부는 4분기 ‘소비 진작 + 투자 활성화 + 수출 지원’ 3축을 중심으로 경제 회복세를 지속시킨다는 방침이다. 단기 부양책에 의존한 일시적 반등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내수 구조 개선과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이 뒷받침될 때 진정한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