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17 (수)

잠복결핵감염, 연령↑·소득↓·여성보다 남성 감염 위험도 더 높아

질병관리본부, 2017·2018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결과 발표

 

질병관리본부는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자는 미감염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률이 16.3배, 감염자 중 치료 미실시자는 치료 완료한 사람에 비해 5.4배 높다고 발표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17년도와 2018년도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결과를 근거로 잠복결핵감염의 활동성 결핵 진행정도 및 치료효과를 분석해 24일 발표했다.질병관리본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자는 미감염자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 위험률이 16.3배, 감염자 중 치료 미실시자는 치료 완료한 사람에 비해 5.4배 높다. 특히 잠복결핵감염 치료는 활동성결핵의 예방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자 100명 중 35명만이 치료를 시작하고 이 중 29명만이 치료를 완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진 결과 양성인 비율은 14.5%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의 감염 위험도가 더 높았다. 잠복결핵감염자의 치료시작률은 35.2%였고, 치료를 시작한 자 중 82.8%가 치료를 완료했다. 전체 감염자 중 41.8%만이 잠복결핵감염 진단 후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 방문했으나, 내원자 중 대부분인 84.3%가 치료를 시작해 치료기관 내원 안내의 중요성이 확인됐다. 대상자를 평균 2년 2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완료했을 경우 활동성 결핵 발생으로의 82% 예방효과를 보였다. 잠복결핵감염 검사는 가까운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으며 잠복결핵감염 치료비는 국가가 부담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본부장은 “본 연구를 통해 결핵 발병 시 집단 내 전파 위험 등 파급 효과가 큰 집단시설 종사자의 경우, 잠복결핵감염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것이 활동성 결핵 진행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활동성 결핵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에 잠복결핵 치료가 효과적인 만큼 잠복결핵감염 시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를 방문해 적극적인 치료를 받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에 대한 중장기적 효과 분석 체계를 운영하기 위해 연구 과제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