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국가데이터처 발표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국내 실업자 수는 63만 5천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만 2천명(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2.1%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지만, 성별·연령·교육 수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 실업자 수가 40만명으로 5만 2천명(14.8%) 증가하며 실업률도 2.4%로 0.3%p 상승했다. 반면, 여성 실업자 수는 23만 5천명으로 3만 9천명(-14.3%) 감소, 실업률 역시 1.8%로 0.3%p 하락했다. 계절조정 실업률은 2.5%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30대(22.6%), 40대(16.0%), 50대(11.6%)에서 실업자가 증가한 반면, 청년층(15~29세)에서는 2만명 감소, 실업률도 0.3% 하락해 고용 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15~19세와 25~29세에서 실업률이 각각 -2.2%, -0.6% 하락하며 두드러진 감소세를 보였다. 교육 수준별로는 고졸 실업자 수가 1만 2천명 증가(5.5%), 실업률도 0.2% 상승했다. 중졸 이하 실업자도 1천명 증가(1.7%), 실업률은 0.1% 상승했다. 반면, 대졸 이상
경제타임스 기수완(인턴)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역문화진흥원은 10월 ‘문화의 달’을 맞아 CGV·메가박스·롯데시네마·씨네큐 등 멀티플렉스 4사와 함께 ‘문화가 있는 날’ 영화관람 할인을 22일(수)과 29일(수) 두 차례 진행한다. ‘문화가 있는 날’은 문체부가 매달 마지막 수요일을 지정해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해 온 정책이다. 영화관·공연장·도서관 등에서 할인이나 무료관람을 제공하는데, 이번 10월은 ‘문화의 달’을 맞아 한 주를 추가로 운영한다. 22일과 29일 17시부터 21시까지 상영되는 2D 영화는 7,000 원에 관람할 수 있다. 문체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배포한 6,000 원 할인권을 사용하면 무려 1,000 원 관람이 가능하다. 또한 영화 관람 후 지역문화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문화투어' 이벤트에 참여하여 문화상품권을 받을 수도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지난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에는 약 86 만 명이 영화를 관람해 올해 일일 최다 관객을 기록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관람객은 178 만 명에 달하며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번 확대 운영은 극장가 침체 완화와 국민 문화 접근성 제고를
경제타임스 기수완(인턴) 기자 | LG생활건강이 프리미엄 홈뷰티 브랜드 ‘LG 프라엘(Pra.L)’ 인수 후 첫 제품으로 ‘LG 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를 글로벌 최대 뷰티 시장인 미국에 공식 론칭했다고 21일 밝혔다.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는 무게가 47 g에 불과해여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제품에는 화장품의 유효 성분을 피부에 보다 깊숙이 전달하도록 돕는 갈바닉(Galvanic) 기술이 적용돼 스킨케어 제품의 흡수율을 최대 182 %까지 높이는 성능을 갖췄다. LG생활건강은 10월 초부터 미국의 ‘아마존’과 ‘틱톡샵’에서 해당 제품 판매를 시작했다. 이번 진출은 글로벌 시장에서 프라엘의 브랜드 입지를 넓히기 위한 첫 단계로, 현지 MZ세대·직장인·주부 등 일상 속 간편한 스킨케어를 원하는 고객층을 중심으로 한다. 틱톡에서 영향력 있는 미국 체조 금메달리스트 수니 리를 홍보대사로 합류시키는 등 활발히 마케팅하고 있다. 해당 제품은 79 달러로 합리적인 가격에도 불구하고 고가 디바이스에 못지않은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여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다. 출시 2주차에 아마존 사이트 내 랭킹 1위를 기록하며 긍정적인 초기 소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21일 발표한 글로벌 투자 위험 및 회복력 지수(Global Investment Risk and Resilience Index)에서 대한민국이 25위를 차지했다. 이번 지수는 지정학적·경제적·기후적 위험에 대한 국가별 노출과 회복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한국은 첨단 제조업과 ICT 산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 구조와 세계 최고 수준의 혁신 역량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한국의 가장 큰 강점은 경제 복잡성이다.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등 첨단 제조업과 ICT 산업 중심의 고도화된 경제 구조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혁신 역량 측면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R&D 투자 비율과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 잠재력을 확보했다. 안정적인 법·제도 환경과 규제 효율성 역시 한국의 거버넌스 품질을 높이는 요소로 평가된다. 그러나 약점도 존재한다. 기후 위험 측면에서 태풍과 홍수 등 자연재해 노출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지정학적 리스크는 한반도의 안보 상황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야기한다. 이러한 요소는 투자자들에게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작용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스위스가 글로벌 투자 위험 및 회복력 지수(Global Investment Risk and Resilience Index)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며 가장 회복력 있는 국가로 평가받았다. 이 지수는 헨리앤파트너스(Henley & Partners)가 AI 기반 분석 플랫폼 알파지오(AlphaGeo)와 협력해 개발한 것으로, 지정학적, 경제적, 기후적 위험에 대한 국가별 노출과 회복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지표다. 상위 5위에는 스위스를 비롯해 덴마크(2위), 노르웨이(3위), 싱가포르(4위), 스웨덴(5위)이 포함됐다. 이들 국가는 공정한 성장, 견고한 제도, 미래 지향적 정책을 통해 높은 회복력을 입증했다. 헨리앤파트너스 회장 크리스티안 H. 케일린 박사는 “위험 노출도와 회복력 역량을 하나의 점수로 결합함으로써, 이 지수는 자산 보존과 장기적 가치 창출에 가장 적합한 국가들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작은 국가들의 강한 회복력이번 지수는 국가 규모와 관계없이 회복력이 뛰어난 국가들을 조명했다. 룩셈부르크(6위), 핀란드(7위), 그린란드(8위), 네덜란드(9위), 독일(10위) 등이 상위권에 올랐으며, 아이슬란드(11위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애경산업(018250)은 21일,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이케이홀딩스와 애경자산관리는 보유 중인 1667만2578주를 티투프라이빗에쿼티, 유안타인베스트먼트, 태광산업에 양도한다. 양도 금액은 총 4699억9997만3820원이며, 주당 2만8190원으로 책정됐다. 계약금 235억 원은 계약 체결일인 10월 21일에 지급되며, 잔금 4464억9997만3820원은 2026년 2월 19일 양도일에 지급될 예정이다. 양도 완료 후, 티투프라이빗에쿼티 등 3인의 지분율은 63.13% 로 상승하며, 기존 최대주주였던 에이케이홀딩스 등 2인의 지분율은 0% 로 변경된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휴맥스(115160)는 21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 위너콤의 제4회차 사모사채 발행에 대한 70억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보증 기간은 2025년 10월 30일부터 2027년 10월 30일까지로 설정됐다. 이번 채무보증의 채권자는 신보 2025 제24차 유동화전문 유한회사이며, 휴맥스의 자기자본(1152억9718만655원) 대비 채무보증금액 비율은 6.07% 에 해당한다. 휴맥스는 2025년 10월 21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해당 보증을 승인했으며, 이사회에는 사외이사 1명이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휴맥스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411억2000만 원에 이르게 된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대한항공이 올해 3분기 글로벌 항공 수요 둔화와 비용 증가 여파로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9% 감소한 3763억 원을 기록했다. 미국의 입국 규정 강화와 추석 연휴 특수가 4분기로 이연되면서 수익성에 일시적 부담이 발생한 데다, 감가상각비·정비비 등 운항 관련 비용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점이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항공은 10월21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하고, 매출 4조85억원·영업이익 376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6%(2323억원) 감소한 것이며, 영업이익은 39%(2423억원) 줄었다. 회사 관계자는 “3분기 주요 노선의 여객 수요가 전년보다 감소했고, 정비비·감가상각비 등 고정비와 공항 관련 비용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3분기 실적 부진은 여객·화물 사업 부문의 동반 매출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1962억원 감소한 2조4211억원, 화물 사업 매출은 531억 원 줄어든 1조667억 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 갈등 심화, 유가 변동성 확대가 항공 화물 운송 수요를 위축시켰고, 북미·유럽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카이노스메드(284620)가 개발 중인 다계통위축증(MSA) 치료제 ‘KM-819’가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10월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이번 임상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방식으로 진행되며,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에서 실시될 예정이다. 임상시험의 1차 목적은 MSA 환자에서 위약 대비 KM-819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UMSARS 총점(I+II)을 활용해 병리적 진행 속도 저하 여부를 측정한다. 해당 임상은 2025년 3월 27일 신청되어 2025년 10월 20일 승인되었으며, 약 3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목표 시험대상자 수는 167명, 예상 종료일은 2028년 12월 19일이다. 다만, 투자자들은 신약 개발의 불확실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시험 약물이 최종 의약품으로 허가받을 확률은 약 10% 수준이며, 임상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편, KM-819는 과거에도 국내에서 임상 2상 시험이 진행된 바 있으나, 2024년 8월 19일 해당 시험이 철회된 바 있다. 이번 승인은 기존 계획을 수정·보완하여 재개하는 형태로 이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FOMO(Fear Of Missing Out·소외에 대한 공포)는 투자자들이 급등하는 시장에서 ‘나만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닐까’ 하는 불안감에 따라 매수에 나서는 심리 현상을 의미한다. FOMO는 급등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투자 심리로, 시장의 상승 흐름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불안감이 과열 매수세를 유발하는 현상이다. 주가가 이미 상당 부분 오른 상황에서도 ‘더 오를 수 있다’는 기대감이 확산되면 투자자들이 뒤늦게 진입하는데, 이때 나타나는 과열 매수세가 바로 FOMO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특히 최근처럼 인공지능(AI)·반도체·금과 같은 특정 자산이 급등하는 국면에서는 “놓치면 손해 본다”는 심리가 확산되며 합리적 판단보다 군집심리(herd behavior)가 시장을 지배하게 된다. 전문가들은 FOMO를 “탐욕이 공포를 앞서는 순간 나타나는 투자 심리”라고 평가하며, 단기적 상승세의 연료가 될 수 있지만 동시에 조정의 불씨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