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8.3℃구름많음
  • 강릉 12.0℃맑음
  • 서울 10.8℃구름많음
  • 대전 11.5℃맑음
  • 대구 12.3℃맑음
  • 울산 13.5℃맑음
  • 광주 12.9℃맑음
  • 부산 15.4℃맑음
  • 고창 11.4℃구름조금
  • 제주 13.5℃구름조금
  • 강화 8.2℃구름많음
  • 보은 9.1℃구름조금
  • 금산 10.5℃맑음
  • 강진군 13.5℃맑음
  • 경주시 12.9℃맑음
  • 거제 11.9℃맑음
기상청 제공

2025.11.26 (수)

[이슈키워드] 5G vs 6G

AI가 네트워크에 내재된 지능형 통신 인프라 기반
기존 주파수보다 수십 배 높은 THz 대역으로 대용량 전송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6G(Six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5G의 뒤를 잇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초당 테라비트(Tbps)급 초고속 전송 속도와 0.1ms 이하의 초저지연, 최대 1㎢당 수백만 개 단말을 연결할 수 있는 초연결성을 핵심 성능으로 한다. 5G가 산업 전반의 디지털화를 촉발한 단계라면, 6G는 AI가 네트워크에 내재된 지능형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완전한 디지털·물리 융합 시대를 여는 기술로 평가된다.

 

6G는 기존 주파수보다 수십 배 높은 테라헤르츠(THz) 대역을 활용해 대용량 전파 전송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실시간 홀로그램 통신, 초정밀 XR, 완전 자율주행(레벨5+), 초정밀 디지털트윈, 원격 로봇 제어 등 고도화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6G에서는 AI가 트래픽 패턴·전파 환경을 학습해 기지국과 단말 간 신호를 자동 최적화하는 AI-RAN(지능형 무선접속망)이 필수 요소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각국 정부와 글로벌 통신사, 장비업체들은 6G 표준화를 둘러싸고 이미 주도권 경쟁에 뛰어들었다. 우리나라 역시 정부와 통신 3사,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6G 기술 로드맵을 제시하고 국제 표준화 기구에 제안을 확대하는 등 선점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6G 상용화 시점을 2030년 전후로 예상하며, 6G는 국가 경쟁력·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차세대 국가 전략기술로 평가된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




공시 By A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