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종합금융투자계좌(IMA·Investment Management Account)는 자기자본 8조원 이상 대형 증권사만 운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고급형 통합 투자계좌다. 단순한 주식·채권 거래를 넘어, 고객 예탁금을 기업금융(IB), 대체투자, 부동산·인프라 프로젝트,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군에 포트폴리오 형태로 일괄 운용할 수 있는 점이 기존 계좌와의 가장 큰 차이다.
IMA는 사실상 ‘증권사의 전문 운용 능력을 활용하는 종합 투자 서비스’로 기능한다. 고객은 계좌 하나로 복수의 자산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증권사는 이를 통해 기업금융 수익·대체투자 수익 등 비중이 높은 영역까지 예탁금 운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특히 IMA는 고위험·고난도 투자자산까지 접근이 가능해 대형사 중심의 고수익 구조를 더욱 강화하는 제도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IMA 인가가 난 시점부터 사실상 대형 증권사의 독주 체제가 공고해졌다”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된다.

반면 자기자본이 부족한 중소형 증권사 입장에서는 IMA 도입이 시장 내 격차를 확대시키는 대표적 요인으로 지목된다. 동일한 예탁금을 보유하더라도 투자 가능한 자산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고수익 자산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대형사와 구조적 경쟁력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업계에서는 IMA를 “대형 증권사가 자금 모집력과 IB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는 핵심 수단”으로 평가하며, 향후 IMA의 확산 여부에 따라 증권업계의 시장 구도가 더욱 빠르게 ‘양극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