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쿠팡은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직매입해 새벽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 누적 규모가 8,000톤을 넘어섰다고 11월18일 밝혔다. 기후 피해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신선한 채소를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해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쿠팡은 2023년 1,500톤을 시작으로 2024년 3,700톤, 2025년(1~10월) 2,800톤 이상을 매입하며 매년 물량을 확대해왔다. 현재는 무, 버섯, 당근, 파프리카, 애호박, 오이 등 약 20종의 채소를 전국 각지 농가와 협력해 취급하고 있다. 특히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등 인구 감소 지역을 포함해 제주까지 거래 범위를 넓히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못난이 채소는 외형이 규격에 맞지 않아 일반 유통에서 제외되지만 신선도와 맛에는 차이가 없다. 쿠팡은 이를 평균 20% 저렴하게 공급해 고물가 시대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농가들은 쿠팡과의 거래가 경영 안정에 큰 힘이 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경기 용인의 군자농원은 “버섯 작황이 나쁠 때 판로가 없어 헐값에 넘기던 표고버섯이 쿠팡 덕분에 납품량의 30%를 차지했다”며 “물류비 절감으로 고용도 지난해보다 2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충남 당진의 그린팜 영농조합은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며 “매출이 늘고 농가 경영이 안정됐다”고 전했다.
쿠팡은 산지 직거래 구조를 통해 중간 유통 단계를 없애고,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 후 로켓프레시 새벽배송으로 고객에게 전달한다. 오전 7시까지 집 앞에 도착하는 새벽배송은 워킹맘을 비롯한 주부들에게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가성비와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못난이 채소 활성화 정책은 고객 인지도가 낮았던 다양한 농가 채소들이 새롭게 조명받는 계기가 됐다. 경기 이천의 송이애 버섯농가는 “외면받던 못난이 새송이버섯이 전체 납품 물량의 20%를 차지하게 됐다”며 “폐기 비용이 줄고 수익으로 전환됐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쿠팡의 못난이 채소 매입은 인구감소지역 농가의 물류비 부담을 줄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범 사례”라며 “앞으로 산간·농촌 중심으로 협력 농가 확대가 활발히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쿠팡 관계자는 “쿠팡의 물류와 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를 넓히고 고객에게는 신선하고 합리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