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1℃흐림
  • 강릉 15.7℃흐림
  • 서울 16.5℃흐림
  • 대전 19.4℃흐림
  • 대구 19.1℃흐림
  • 울산 19.5℃흐림
  • 광주 22.1℃흐림
  • 부산 21.7℃흐림
  • 고창 23.2℃구름많음
  • 제주 26.3℃맑음
  • 강화 15.4℃흐림
  • 보은 18.0℃흐림
  • 금산 19.7℃구름많음
  • 강진군 23.0℃흐림
  • 경주시 18.6℃흐림
  • 거제 21.8℃흐림
기상청 제공

2025.10.20 (월)

[테크 용어]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llyl Trimethyl Phosphonium, APT)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은 10월20일, 포스텍·성균관대 공동 연구팀이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PT, Allyl Trimethyl Phosphonium)’ 계열의 이온성 화합물을 적용한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용어 설명
·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llyl Trimethyl Phosphonium, APT)
= LG에너지솔루션, 포스텍, 성균관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 전해질 기술의 핵심 소재로, 포스포늄 계열의 이온성 화합물이다.​ APT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강하게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로, 일반 전해질에서 단순한 첨가제 역할을 넘어서 전해질의 물리화학적 성능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다기능성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 물질은 전해질의 동결점을 낮추고 점도를 감소시켜, 극저온 환경에서도 배터리 내부에서 이온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영하 20도에서도 약 87%의 충·방전 용량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저온 성능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며, 전통적인 전해질보다 월등한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APT 계열 화합물은 배터리 계면 반응을 조절해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약 90% 이상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배터리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의 전달 속도를 크게 줄여 안전성을 강화하는 기술적 돌파구로 평가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APT 화합물이 고용량 실리콘 음극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어, 향후 전고체전지나 리튬금속전지로의 확장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이번 기술은 에너지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에 동시 게재되었으며, 하나의 이온성 화합물 플랫폼으로 배터리의 성능(이온전도성, 저온 안정성)과 안전성(열폭주 억제)을 동시에 해결한 선도적 사례로 평가된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 기술이 전기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극저온 환경용 배터리 등에서도 새로운 고객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