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 4,000 시대’가 마침내 열렸다.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며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한 국내 증시는 과열 논란 속에서도 AI·반도체 주도의 실적 장세와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내년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 “내년에도 랠리 지속”…증권사들, ‘4,000 중반’ 전망 10월27일 주요 증권사들이 발표한 2026년 증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증권사들은 내년 코스피 상단을 평균 4,000선 초중반으로 제시했다. 예상 밴드는 3,300~4,350포인트로, 전년 대비 추가 상승 여력을 남겼다. 가장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은 대신증권은 코스피가 4,400선에 근접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증권사는 “글로벌 정책 공조, AI·반도체 중심의 실적 개선(EPS 레벨업)이 지수 상승을 주도할 것”이라며 “한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글로벌 성장 사이클에 편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영증권과 상상인증권은 나란히 4,350선을 상단으로 제시했다. 신영증권은 “2026년 코스피 예상 자기자본이익률(ROE) 10.6%에 근거한 적정 주가순자산비율(P/B)을 반영했다”며, “실적 기반의 상승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상상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 랠리를 이어가고 있다. AI(인공지능) 투자 확산이 반도체 수요를 폭발적으로 끌어올리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코스피가 ‘AI 슈퍼사이클’에 올라탔다. 10월21일 오전 11시 13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66%(+63.22포인트) 상승한 3,877.91을 기록했다. 이날 지수는 신고점인 3,851.10에서 출발해 상승 폭을 확대, 장중 3,893선까지 치솟으며 3,900선 돌파를 목전에 두었다. 이달 들어서만 3,400선을 돌파한 후 3,500·3,600·3,700·3,800선을 차례로 넘어섰고, 월간 상승률은 13%를 돌파했다. 지수 급등의 중심에는 단연 반도체가 있다. AI 서버, 데이터센터,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반도체 수요 확대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하며,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코스피를 끌어올렸다.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오전 10시 31분 기준 9만9,900원(+1.83%)까지 오르며 사실상 ‘10만원 고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장중 50만2,000원(+3.40%)으로 신고점을 새로 쓰며 ‘50만 클럽’에 재진입했다. 두 종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또 한 번 역사를 새로 썼다. 10월20일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800선을 돌파하며 3,814.69로 거래를 마감, 이달 들어 3,500·3,600·3,700선을 연속 돌파한 데 이어 3,800선마저 넘어섰다. 기관의 대규모 매수세와 증권·반도체·방산주의 폭등이 맞물리며 ‘역대급 강세장’이 연출됐다. ■ 기관 매수세 주도…코스피 1.76% 급등, 코스닥도 동반 강세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5.80포인트(1.76%) 오른 3,814.69로 마감했다. 장 초반 3,728.38까지 밀렸던 지수는 기관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되며 반등, 사상 첫 3,800선 돌파에 성공했다. 코스닥지수 역시 1.89% 상승한 875.77로 마감, 900선 돌파를 바라보는 흐름을 이어갔다. 한 증권사 트레이더는 “기관 자금이 대형주 중심으로 순매수세를 이어가면서 시장 내 ‘유동성 모멘텀’이 다시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증권주 ‘폭등’…미래에셋·한국금융·키움 나란히 급등 코스피 상승의 최대 수혜주는 단연 증권주였다. 최근 개인투자자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대거 유입되면서 거래대금 증가 기대감이 증권주 전반을 끌어올렸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미국발 경기 불안 여파로 아시아 주요 증시가 일제히 하락한 가운데, 국내 증시 코스피는 대형주 중심의 매수세에 힘입어 강보합권으로 마감했다. 특히 SK하이닉스와 LG에너지솔루션이 각각 3% 안팎의 상승률을 보이며 사흘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 흐름을 이어갔다. 10월1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0.52포인트(0.01%) 오른 3,748.89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 미국 증시 하락 영향으로 3,722.07까지 밀렸던 지수는이후 반도체·2차전지 업종의 강세에 힘입어 장중 3,794.87까지 상승, 3,800선을 눈앞에 두기도 했다. 다만 장 후반으로 갈수록 글로벌 증시 약세와 연동되며 상승 폭을 일부 반납, 큰 변동성을 보인 하루였다. ■ 외국인 ‘사자’에 지수 방어… SK하이닉스·LG엔솔 ‘투톱 랠리’ 이날 투자 주체별로는 외국인만이 순매수세(약 1,000억 원대)를 보이며 지수를 지탱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차익 실현 매물을 내놓았다. 대형주 중에서는 SK하이닉스(+2.87%)와 LG에너지솔루션(+3.21%)이 시가총액 상위주 상승세를 주도했다. SK하이닉스는 글로벌 D램 및 낸드 수요 회복 기대감과 범용 메모리 가격 반등 조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 3700선을 돌파한 지 불과 하루 만에 3800선 돌파를 눈앞에 두며 폭등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쌍끌이 랠리’에 외국인 매수세가 더해지며 지수는 장중 3794.87까지 치솟았다. 10월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12시 2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5.36포인트(0.41%) 오른 3763.73을 기록 중이다. 장 초반에는 3732.76으로 출발해 3722.07까지 밀렸지만, 오전 9시 45분을 기점으로 강력한 상승 흐름을 보이며 한때 3794.87까지 급등했다. ■ 반도체주 폭등…삼성전자·SK하이닉스 “역대 최고가 경신” 지수 급등세의 중심에는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다. 삼성전자는 장중 9만9100원까지 올라 전날 기록한 역대 최고가(9만7700원)를 하루 만에 돌파했다. SK하이닉스는 47만5000원까지 오르며 기존 최고가(45만5000원)를 크게 경신했다. 이는 전날 미국 증시에서 엔비디아(+1.10%)와 마이크론테크놀로지(+5.52%) 등 글로벌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인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AI(인공지능) 수요 확대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전반의 실적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780선을 돌파하며 나흘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주의 강세가 시장을 견인하면서,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세가 맞물린 결과다. 10월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36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5.99포인트(0.96%) 오른 3784.77을 기록했다. 이는 3780선을 넘어선 첫 기록이자, 지난 사흘간의 최고치 랠리를 잇는 ‘4연속 신고가 행진’이다. 코스피는 이날 미국 지방은행 리스크 우려로 약세 출발했으나, 반도체·전기전자 업종 중심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전환했다. 장 초반 3732.76에 출발해 한때 3722.07까지 밀렸지만, 외국인과 개인의 매수세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외국인 투자자는 440억 원, 개인은 619억 원을 순매수했으며, 기관은 1136억 원을 순매도했다. ■ 반도체 ‘투톱’ 질주… 삼성전자·SK하이닉스 역대 최고가 경신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나란히 사상 최고가를 새로 쓰며 시장 랠리를 주도했다. 삼성전자는 장중 한때 9만7,800원, SK하이닉스는 45만9,250원
(사진=엔에프씨) 화장품 업체 엔에프씨가 12월 코스닥에 상장한다. 엔에프씨는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공모 주식수는 200만주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10,200원~13,400원이다. 총 공모금액은 공모가 하단기준 204억 원 규모다. 다음달 16~17일 기관 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공모가를 정한다. 23~24일 일반 투자자 대상 청약을 실시한다. 삼성증권에서 신청할 수 있다. 상장일은 12월 초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엔에프씨는 화장품 소재 개발 및 완제품(ODM, OEM)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독자기술을 통해 특화된 소재 개발을 이뤄냈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외 대형 기업들과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며 성장했다. 특히 국내 최초로 개발한 수용성 세라마이드는 피부 면역력 증진과 보습력 향상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필수 성분인 이산화티탄 합성 국산화에 유일하게 성공했다. 신소재 개발을 통한 신규 성장 동력까지 확보한 상태다. 설립 이후 한번도 꺾이지 않은 실적 성장세를 보였다. 작년 매출액 329억원, 영업이익 68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5개년(201
앱코 기업 로고 게이밍 기어(Gaming Gear) 국내 1위 회사 앱코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의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20일 밝혔다. 2001년 설립된 앱코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미국 아마존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다. BBIG(배터리 바이오 인터넷 게임) 열풍과 코로나 환경으로 말미암은 언택트 수혜 등을 통해 특히 키보드 및 블루투스이어폰 분야에서 큰 인기를 누려왔다. 앱코는 뛰어난 제품 품질과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주력 제품인 게이밍기어(PC게임용 키보드, 헤드셋, 마우스, 및 케이스 등) 사업영역에서 매년 두자리 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국내 게이밍기어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최근에는 2017년부터 투자해 온 스마트단말기 충전함 사업과 2019년 런칭한 생활가전 브랜드 사업(오엘라: 소형가전, 비토닉: 음향기기) 분야에서도 매출액이 본격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앱코는 금번 기업공개를 통해 해외 주력시장에서 앱코의 브랜드 파워를 확대하고 체계적인 유통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e스포츠와 함께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세계 게이밍기어 시장에서 명실공히 최고의 토종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게 회사의 목표다. 2016년부터 해외시장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