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원·달러 고환율이 고착화될 분위기에 건설업계가 잔뜩 얼어붙었다. 부동산 건설경기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입 건설자재 가격이 올라갈 조짐을 보이기 때문이다. 장기간의 고환율은 아파트 분양가 상승과 재건축·재개발 사업성 악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건설업계와 주택조합 등 관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다.
11월24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21일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7.7원 오른 1,475.6원에 마감됐다. 이는 4월 9일(1472원) 이후 약 7개월 만에 기록한 최고치다. 환율 상승은 국내 건설업계가 수입에 의존하는 철근·레미콘 등 자재 가격을 끌어올리며 공사비 부담으로 직결된다. 최근 전국 민간아파트 분양가가 3.3㎡(평) 당 2,000만 원을 넘어섰다. 서울의 경우 3.3㎡(평) 당 평균 4,703만 원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도 비용 상승 흐름을 뒷받침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11월 건설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수입 중간재 물가지수는 121.8로 전년 대비 4.0% 올랐고, 수입 생산재 물가지수도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집계한 9월 건설공사비지수 역시 131.66으로,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건설 업계에서는 환율이 1,500원대에서 유지될 경우 공사비 단가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수입 자재가 연 단위 계약인 경우가 많아 당장 급등하지는 않지만, 고환율이 지속되면 비용 인상 압박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건설 수요 자체도 부진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 6,762가구로 한 달 전보다 증가했다. 준공 후 미분양도 2만 7,248가구에 달해 시장 부담이 커지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아파트 분양가 상승과 재건축·재개발 사업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공사비가 오르면 조합 부담이 커지고, 결과적으로 수익성이 하락한다. 따라서 건축비 상승에 따른 분양가 상승 압력으로 직결되며 재건축 사업성 악화, 신규 공급 지연, 시장 불확실성 확대등 연쇄효과로 건설업 전반의 경기 둔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업계가 환율 변동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는 "고환율이 단순히 건설업 경기 둔화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공급 시스템 자체를 흔들 수 있다"며 "정부 차원의 원자재 조달비 완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