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수도권 규제지역 아파트 거래량은 급감했으나 평균 매매가격은 오히려 상승하는 등 ‘규제의 역설’이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1월1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부동산거래정보 통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거래금액은 15억 2,988만원(14일 기준)을 기록 중이다. 이는 직전 달인 10월 12억 819만원, 앞서 지난 9월 12억 1,107만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3억원 이상 웃도는 수치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의 분석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전(10월1일~19일)과 시행 후(10월 20일~ 11월 12일)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는 1.6%, 과천, 분당 등 경기도 내 규제지역은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 기간 김포, 구리, 일산 등 비규제 지역 경기도의 경우 평균 1.1% 상승했다.
기존 규제지역인 강남3구의 경우 규제 이후 평균 매매가가 2.2% 상승하며 서울 전체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자이의 경우 전용 132㎡ 기준 규제 이후인 지난달 29일 60억 5,000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찍기도 했다. 같은 면적대 직전 거래로는 올해 3월 54억원에 거래된 바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엘스도 규제 이후인 지난달 31일 전용 84㎡ 기준 34억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거래량은 지난달부터 확실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울의 경우 부동산 과열 조짐이 나타난 지난 6월 매매거래량은 1만1,257건까지 증가했으나 지난 9월 8,636건, 10월에는 7,507건을 기록 중이며, 11월은 313건(14일 기준)이 신고된 상태다. 10월과 11월의 경우 매매거래 신고 기간이 남아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급격히 거래량이 감소하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10.15대책 발표 직후(10월16일~11월14일) 수도권 규제지역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규제 직전 한 달 동안에 비해 약 70% 급감했다. 규제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급감했음에도 아파트값이 좀처럼 하락세로 전환되지 않는 배경은 매물 급감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규제 발표일인 지난달 15일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 매물 건수는 7만 4,044건을 기록한 데 반해 최근에는 1만건 가까이 줄어든 6만 4,218건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초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 매물 건수가 9만건대를 기록한 것을 감안하면 매물 물건이 빠르게 줄어 들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 한 전문가는 “규제로 인해 대출도 막히고 거래허가도 받아야 하는 상황에서 집주인들은 호가를 내리기보다는 오히려 매물을 거둬들이고 좀 더 지켜보자는 움직임이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존 규제지역인 강남3구·용산 뿐 아니라 서울 전 지역이 규제지역이 되면서 역설적으로 강남, 용산은 현금 유동성 기반으로 실수요자들이 뒷받침을 하며 상대적인 견조세가 예상된다”고 풀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