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삼성SDI는 10월28일 2025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며, 매출액 3조518억원, 영업손실 591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2.5% 감소한 수치이며, 영업이익은 적자로 전환됐다.
이번 실적 악화는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 둔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ESS용 배터리 수출 타격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배터리 부문은 매출 2조8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2% 급감했으며, 영업손실은 6301억원에 달했다.
반면, 전자재료 부문은 매출 2318억원, 영업이익 388억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6.2% 증가했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2.1% 감소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57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편광필름 사업 양도에 따른 처분 손익이 반영된 결과다.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삼성SDI는 미래 수주 확보에 있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원통형 46파이 및 각형 배터리를 통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110GWh 이상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내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수주도 확보했다.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제품 라인업도 강화됐다. 안전성을 높인 SBB 1.7과 SBB 2.0 제품을 출시하며 현지 생산 및 공급 준비를 마쳤다.
삼성SDI는 4분기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유럽 전기차 시장과 미국 ESS 시장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어 수요 회복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미국 현지 생산도 본격화되고 있다. 스텔란티스와의 합작법인 SPE에서는 이달 NCA 기반 배터리 라인 가동을 시작했으며, 내년 4분기에는 LFP 배터리 라인을 추가해 연간 30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회사는 비중국계 기업 중 유일하게 각형 배터리를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ESS 시장에서 안전성과 에너지밀도가 높은 각형 배터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에서는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대응한다. 하이니켈 배터리로 프리미엄 시장을, LFP 및 미드니켈 배터리로 보급형 시장을 공략하며, 하이브리드 차량용 탭리스 원통형 배터리도 새롭게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