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이 통화정책 기조를 ‘매파’에서 ‘비둘기파’로 빠르게 선회하며 완화적 스탠스를 강화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하 사이클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iM증권 박상현 연구위원은 10월16일 보고서에서 "파월 의장이 금리인하 신호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양적긴축(QT)의 조기 종료를 언급하며 통화정책의 방향성을 완화적으로 전환했다"며 "이는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인한 경제지표 공백에도 불구하고 고용시장 둔화 리스크를 우려한 결정"이라고 분석했다.
파월 의장은 최근 연설에서 “구인 건수가 추가로 감소할 경우 실업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제는 실업이 오르기 시작할 시점에 도달했다”고 경고했다. 이는 연준의 정책 초점을 물가에서 고용으로 전환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특히 파월 의장이 주식시장 과열을 경계하면서도 실제로는 유동성 측면에서 자산시장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양적긴축 규모 축소와 국채 매각 중단에 더해, 장기금리 통제(Yield Curve Control·YCC)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박 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장기 국채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연준이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장기금리 안정화에 협조할 여지가 있다”며 “연내 추가 금리인하와 함께 내년 상반기까지 완화적 정책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와 같은 통화정책 전환은 미 국채금리의 하방 경직성을 완화시키며, 지난해 9월 ‘빅컷(Big Cut)’ 이후와는 다른 흐름을 보이게 만들었다. 실제로 미국 2년·10년물 국채금리는 최근 들어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급격한 완화 전환이 자산시장 과열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보고서는 “강한 금리인하 시그널과 양적긴축 중단은 주식시장에 추가 유동성을 공급해 과열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파월 의장의 행보는 ‘경기 부양과 금융시장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그러나 고용과 물가, 그리고 정치적 압력이라는 세 변수 속에서 연준의 완화 행보가 어디까지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