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포스코그룹이 22일 경북 포항시 ‘체인지업 그라운드’에서 개방형 혁신 종합 플랫폼 ‘체인지업(Change Up)’의 출범을 공식 선언했다. 이번 플랫폼은 창업 지원부터 투자, 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브랜드로,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그룹은 기존 벤처 육성 플랫폼을 재정비해 ▲유망 창업팀을 발굴하는 ‘스타트(Start)’ ▲단계별 투자 펀드로 성장을 지원하는 ‘부스트(Boost)’ ▲사업화 및 실증이 이뤄지는 거점 공간 ‘그라운드(Ground)’로 구성된 체계적인 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날 행사에 앞서 포스코그룹은 중소벤처기업부, 경북도, 금융기관과 함께 총 1,011억 원 규모의 ‘경북-포스코 혁신 성장 벤처 펀드’에 출자했다. 해당 펀드는 경북 지역 유망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며, 포스코그룹은 펀드 운영위원으로 참여해 지역 발전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포스코그룹은 1997년부터 벤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투자를 지속해왔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아이디어 마켓 플레이스’는 2011년 시작 이후 누적 1만여 건의 공모를 통해 175개 기업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누적 은행권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탈 퇴직연금 비교공시에 따르면, 2025년 9월말 하나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총 44조 1083억원으로, IRP 2조 6583억원과 확정기여형(DC) 1조 1586억원 증가에 힘입어 전년말 대비 3조 8349억원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전 금융권에서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에도 매분기마다 은행권 적립금 증가 1위를 달성하며, '퇴직연금 1등 은행'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고 있다. 더불어, 하나은행은 2025년 3분기 확정기여형(DC) 원리금비보장 부문 운용 수익률에서도 17.18%로 시중은행 1위를 기록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이러한 꾸준한 성과는 대면과 비대면을 아우르는 하나은행만의 차별화된 손님 맞춤형 연금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하나은행은 오는 27일부터 11월 말까지 손님의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를 위한 '가을 빛 혜택! 연금 어썸 리워즈' 이벤트를 진행한다.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주가(株價) 조작 최근 코스피 지수가 3900 포인트를 눈앞에 두는 등 주식시장은 연일 강세장입니다. 앞서 이재명 정부는 `코스피 5000 시대’를 공약으로 내걸며 이를 위해 주식 시장 정상화의 걸림돌인 주가 조작사범에게는 패가망신하게 해야 한다고 철퇴를 예고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공모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씨에게 무죄가 선고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5부(부장 양환승)는 21일 오전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김 위원장의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같은 혐의로 기소된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에게도 무죄를 선고했다. 주식회사 카카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김 위원장은 2023년 2월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하기 위해 주가를 공개매수가보다 높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기소됐다. `주가조작'은 특정 세력이 시세 차익을 얻기 위해 주가 형성에 인위적으로 개입하는 불공정 거래 행위를 뜻해요. 주로 허위 정보를 유포하거나 서로 짜고 사전에 약속한 주식 매매를 반복해 거래가 활발한 것처
경제타임스 기수완(인턴) 기자 | 대한민국 딥테크 스타트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한 최대 규모의 기술 포럼인 '2025 DIPS GLOBAL TECH CON'이 오는 28일(화)부터 29일(수)까지 이틀간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공식 경제인 프로그램으로 지정돼 전 세계 기술 리더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첫날(28일), 'AX for All' 아래 기술 융합 비전 공유 DIPS GLOBAL TECH CON은 "AX for All: AI Transformation Across Nations(국가를 초월한 AI 혁신)"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첫날인 28일에는 핵심 기술 분야별로 특화된 세션과 글로벌 네트워킹 행사를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28일 오전부터 오후까지는 ▲한국전자기술원 주관 '미래 모빌리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주관 'AI 기반 로봇 기술' ▲서울대 주관 '차세대 시스템반도체'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주관 'AI·빅데이터 상생협력' 등 초격차 10대 분야 기술의 최신 동향과 산업 전략을 공유하는 전문 세션들이 열린다. 특히 오후에는 국내외 저명 인사가 참여하는 Keynote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화학이 해외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가치 제고 제안에 급등세를 나타냈다. 10월2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LG화학은 전 거래일 대비 9.68%(3만3,500원) 오른 37만9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한 달 만의 최고치이자, 최근 들어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이번 주가 급등은 엘리엇 매니지먼트 출신이 설립한 행동주의 펀드 ‘팰리서캐피탈(Palliser Capital)’이 LG화학에 공개적으로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촉발됐다. 팰리서캐피탈은 “LG화학 주식은 순자산가치(NAV) 대비 74% 할인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이는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 가치가 주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펀드는 구체적으로 △기업 경영 전문성을 갖춘 독립이사 선임을 통한 이사회 개편, △주가와 연동된 경영진 보상체계 도입, △보유 중인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활용한 자사주 매입, △장기 주가 저평가 관리 프로그램 시행 등을 제안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현물로 활용해 자사주를 매입하는 방안은 지주회사의 ‘이중할인(더블카운팅)’ 문제를 완화할 대안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이 지난 10월15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2025 WBA Industry Awards’에서 ‘전력구 특화 비상통신망 기술’의 공공 서비스 혁신성을 인정받아 ‘사회적 가치 창출부문 대상(Best Wi-Fi for Social Impact)’을 글로벌 유틸리티 기업으로는 최초로 수상했다. WBA(Wireless Broadband Alliance)는 전 세계 통신·네트워크 기업과 플랫폼 공급업체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연합체로 AT&T, 인텔, 구글, 애플 등 다수의 세계적 기업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WBA의 인더스트리 어워드는 무선 네트워크 분야에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혁신적 네트워크 기술 및 서비스에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이다. 한전이 수상한 ‘전력구 특화 비상통신망 기술’은 지하 전력설비 통로인 전력구 내부에 무선 네트워크 기반 통신망을 구축해, 재난·사고 등 비상 상황에서도 전력설비 현장을 신속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이다. 특히 △통신 음영지역인 지하 밀폐 공간에서 안정적인 무선 연결 △저비용 고효율의 통신 인프라 구축 △전력설비 안전관리와 작업자 보호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신한카드가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더 베스트 신한카드’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벤트는 오는 11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참여를 원하는 고객은 기간 내 이벤트에 응모한 뒤 해외 온·오프라인에서 50만원 이상, 국내외 합산 50만원 이상을 이용하면 된다. 고액 이용자 상위 10명에게는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와 함께 리모와 캐리어, 아이패드 프로, 다이슨 에어랩 등 다양한 경품이 제공된다. 1등과 2등에게는 각각 20만8000 마일리지, 10만8000 마일리지가 주어진다. 이는 인천·부산 출발 싱가포르·발리·푸켓 노선 왕복 항공권 2매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또한 이용금액 조건을 충족한 모든 고객에게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3000 마일리지가 제공된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싱가포르항공과 제휴해 국내 유일의 외항사 마일리지 카드인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더 베스트 신한카드’를 출시했다. 이 카드는 크리스플라이어 엘리트 멤버십, 웰컴·연간 기프트 마일리지 등 다양한 혜택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정부가 올해 말까지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두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 다만 국제유가와 재정 여건을 고려해 휘발유·경유 등 주요 품목의 인하 폭은 다소 축소된다. 기획재정부는 10월22일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오는 12월 31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다. 휘발유의 인하율은 기존 10%에서 7%로, 경유와 액화석유가스(LPG) 부탄은 15%에서 10%로 각각 조정된다. 이에 따라 유류세 인하 전 대비 세 부담은 △휘발유 ℓ당 57원 △경유 58원 △LPG 부탄 20원 수준으로 낮아질 전망이다. 정부는 2021년 말부터 유류세를 한시 인하해왔으며, 이번이 18번째 연장 조치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근 유가 및 물가 흐름,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국민의 유류비 부담이 급격히 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점진적으로 세율을 정상화하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위한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시행령’ 및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 후 관계부처 협의와 국무회의를 거쳐 다음 달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일부 세율 환원으로 가격이 오르는 틈을 타 부당 이익을 취하려는 행위
경제타임스 기수완(인턴) 기자 | 한양사이버대학교(총장 이기정) 경영전문대학원 FA&T(Finance, Accounting & Taxation) 트랙의 이정호 박사과정과 김완용 교수는 지난 18일 서울시립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2025년도 한국세무학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International Research Session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발표 주제는 “Beyond Demography: Revisiting Finland’s Productivity Paradox through Dynamic Panel Evidence on Digital Transformation - Finland as a Prototypical Example -”였다. 핀란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선도국으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총요소생산성(TFP) 성장의 정체를 겪으며 ‘생산성 역설’이라는 경제적 미스터리를 안고 있었다. 이정호 박사과정과 김완용 교수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의 핀란드 기업 수준 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계량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디지털화가 기업 생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경제적으로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XPU(이기종 가속기, eXtended Processing Unit)는 CPU·GPU·NPU 등 서로 다른 연산 장치를 하나의 칩이나 패키지 안에서 통합해 동시 처리하는 차세대 연산 구조를 말한다. 기존의 CPU(중앙처리장치)가 명령어 중심의 일반 계산을, GPU(그래픽처리장치)가 대규모 병렬 연산을 담당했다면, XPU는 여기에 AI·데이터 분석·그래픽·과학 계산 등 다양한 작업을 가속하는 모든 연산 코어를 하나로 묶은 ‘융합 가속기’ 개념이다. 쉽게 말해 XPU는 CPU의 논리적 사고력, GPU의 병렬 처리 능력, NPU(신경망 처리장치)의 인공지능 학습 기능을 한데 합친 일체형 두뇌라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AI 훈련이나 대규모 데이터 연산을 위해 CPU와 GPU가 개별 칩으로 분리되어 연결되었지만, XPU는 여러 종류의 연산 코어를 하나의 칩이나 패키지에 통합해 ‘이기종(heterogeneous)’으로 협업하도록 설계된 점이 핵심이다. 이 구조를 통해 데이터 이동 속도를 높이고 전력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AI 모델의 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연산량이 폭증하면서, GPU만으로는 처리 효율이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다.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