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유플러스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에이전틱AI(Agentic AI)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자동 설치 기술’을 개발했다. 11월4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이 기술은 네트워크 장비 소프트웨어 설치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80%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핵심은 AI 에이전트가 스스로 판단하고 협업하며 네트워크 설치 전 과정을 자동화한다는 점이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설계·설치·설정하던 절차를 AI가 문서를 학습하고 환경을 인식해 ‘셀프 구축(Self-deploy)’ 형태로 수행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기술에 AWS의 Amazon Bedrock’과 ‘Strands-Agents SDK’를 적용했다. 이 조합을 통해 여러 AI 에이전트가 동시에 작업을 분담하고 협력할 수 있게 했다. 즉, 하나의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면, 다른 에이전트는 장비 파라미터 수집–설정–테스트–문제 해결까지 이어서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사람의 개입 없이도 전체 설치 프로세스가 자율적으로 운영된다. 이 방식은 단순 자동화(AI Automation)를 넘어,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에이전틱(Age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10대 금융지주회사가 올해 상반기 15조4,428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조3,872억 원(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은행 부문이 전체 순익의 59%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금융투자(16.4%)와 보험(13.4%)이 뒤를 이었다. 이익 증감 추이를 보면, 은행 부문이 1조6,898억 원 증가, 금융투자 부문이 4,390억 원 늘었다. 반면 보험(-932억 원)과 여신전문회사(-3,343억 원)는 이익이 감소했다. 이는 고금리 환경에서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 차)이 확대되며 은행이 수익을 늘린 반면, 보험과 여전사는 채권평가손실 및 연체율 상승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총자산 3,867조 돌파… 은행 자산 비중 74% 올해 6월 말 기준 금융지주사들의 연결총자산은 3,867조5천억 원, 전년 말(3,754조7천억 원)보다 112조8천억 원 증가했다. 총자산 비중은 은행(74.2%), 금융투자(11.5%), 보험(6.7%), 여신전문회사(6.1%) 순이었다. 이는 은행 중심 구조가 여전히 공고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넷마블이 ‘지스타 2025’에서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Origin)’을 공개한다. 오는 13~16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에서 관람객은 초반 스토리와 오픈월드 모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시연 빌드는 알비온 토벌전, 심층 거미굴 던전 등 핵심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넷마블은 현장에서 △추첨 이벤트 △유명 인플루언서의 실시간 대결 △버추얼 아티스트 공연 등 게임·엔터테인먼트 융합형 무대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글로벌 이용자 유입에 나선다. 이번 빌드의 핵심은 대규모 보스전과 협동 중심 던전 구조다. ‘알비온 토벌전’은 거대한 마신 알비온을 상대로 발리스타를 활용해 약점을 공략하고, 포획된 동료를 구출하는 등 팀 전투 중심의 고난도 콘텐츠로 구성됐다. ‘심층 거미굴’은 함정을 피하고 어둠을 밝혀 거미를 몰아내야 하는 타임어택 던전으로, 인플루언서 팀 간 실시간 대결 형식으로 진행돼 관람형 재미를 극대화했다. 지스타 마지막 날(16일)에는 국내 인기 버추얼 아티스트가 등장, 브리타이나 대륙을 탐험하며 게임 세계를 소개하는 특별 무대 공연이 열린다. 또한 관람객이 시연 빌드 내 보스 타임어택 챌린지에 참여하면 추첨을 통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 독점에서 벗어나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을 잡았다. 11월3일(현지시간) CNBC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은 오픈AI에 380억 달러(약 52조 원)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오픈AI는 AWS 인프라 상에서 수십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즉시 활용하게 되며, 향후 몇 년간 규모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계약 1단계에서는 기존 AWS 데이터센터를 활용하고, 이후에는 오픈AI 전용 인프라 구축으로 확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협력은 오픈AI가 더 이상 마이크로소프트만의 AI 파트너가 아님을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오픈AI는 2019년 마이크로소프트와 130억 달러 규모의 독점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했지만, 올해 1월 이 계약은 ‘우선 거부권’ 형태의 비독점 계약으로 전환됐다. 이후 기존 계약이 만료되면서 오픈AI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본격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게 됐다. AI 업계에서는 이번 행보를 “AI 인프라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오픈AI의 전략적 탈피”로 분석한다.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은 “프런티어(Frontier) AI를 확장하기 위해서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LG전자가 글로벌 데이터센터 인프라 기업 플렉스(Flex)와 협업해 모듈형 냉각 솔루션을 개발한다. LG전자는 최근 플렉스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모듈형 냉각 솔루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양사는 LG전자의 데이터센터 내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컴퓨터룸 공기 처리 장치(CRAH), 냉각수 분배 장치(CDU) 등 고효율 냉각제품과 플렉스의 IT∙전력 인프라 등을 결합해 모듈형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냉각 솔루션은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듈 기반 구조로 설계된다. 사전 조립 및 테스트된 냉각 모듈 형태로 제작돼 현장에서 다른 모듈들과 결합된다. 고밀도 컴퓨팅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냉각 모듈을 쉽게 확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LG전자측은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 요구 사항에 따라 맞춤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빠른 배포와 설치가 가능한 점이 기존 냉각 솔루션과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양사는 이번 협업을 통해 데이터센터 구축 과정이 간소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지난해 8월 이후 중단됐던 미국주식 주간거래 서비스가 오늘부터 공식 재개된다. 글로벌 증시가 급락한 ‘블랙먼데이’ 사태로 국내에서 서비스가 중단된 지 1년 3개월 만이다. 중개거래소(ATS)인 블루오션의 전산장애로 중단된 점을 고려해 증권사들은 복수 ATS를 확보해 주문을 배분하는 등 금융당국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동일한 문제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KB증권·하나증권·메리츠증권·신한투자증권·키움증권·대신증권·교보증권·한화투자증권·유안타증권·iM증권·유진투자증권·LS증권·토스증권·카카오페이증권 등의 18개 증권사가 4일 오전부터 미국주식 주간거래를 다시 시작한다. 증권사별로 상이하지만 대부분 미국 정규장 시간대 외에도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30분까지 미국 주식을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서머타임 적용 기간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주간거래를 제공한다. 기존 프리마켓과 정규장, 애프터마켓을 고려하면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가 재개되면 사실상 국내에서 미국 주식은 하루 종일 매매가 가능하다. 증권사 관계자는 "미국주식 주간거래 재개 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현대건설이 3일 글로벌 원전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인사로 웨스팅하우스 전 부사장 마이클 쿤(Michael Coon)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영입은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외 원전 사업 확대를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마이클 쿤은 34년 경력의 원전 전문가로, UAE 바라카 원전 건설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원전 설계 인증 프로젝트를 총괄한 바 있다. 그는 웨스팅하우스를 비롯해 ABB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등 글로벌 원전 기업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한국 원전 설계에도 참여한 경험이 있어 국내 산업에 대한 이해도 또한 높다. 현대건설은 최근 웨스팅하우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페르미 아메리카의 대형 원전 설계 수주를 확보하며 북미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을 4배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원전 산업은 에너지 안보와 공급망 확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마이클 쿤은 원전 사업 전 분야에 걸쳐 축적한 지식과 경험,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현대건설의 해외 원전 사업 확대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그의 통찰력은 현대건설이 글로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AI 시대의 두뇌는 CPU, 그러나 움직이는 힘은 GPU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이 ‘AI 컴퓨팅 시대의 엔진’으로 강조한 GPU는 이제 단순한 그래픽 장치가 아니라, 인공지능 산업 전체를 지탱하는 핵심 인프라로 부상했다. ■ GPU란 무엇인가: “두뇌를 움직이는 근육” GPU(Graphic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는 원래 게임·영상 등 그래픽 연산 전담 칩으로 출발했다. CPU가 순차적으로 계산하는 반면, GPU는 수천 개의 코어(Core)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한다. 즉, CPU가 ‘두뇌’라면 GPU는 ‘근육’이다. 명령을 내리는 두뇌가 아무리 똑똑해도, 근육이 움직이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 병렬 연산의 힘: AI 학습을 가능케 한 구조적 혁신 GPU의 진짜 가치는 ‘병렬 처리(Parallel Computing)’ 구조에 있다. GPU는 복잡한 행렬 연산(Matrix Operation)을 수천 개의 코어가 동시에 수행한다. 이미지 렌더링뿐 아니라, 딥러닝 학습 과정에서 가중치(weight)와 편향(bias)을 수십억 단위로 계산해야 하는 AI 모델에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LG전자가 신개념 텀블러 세척기 'LG 마이컵'을 경기도 내 21개 대학교에 설치한다. LG전자는 경기도와 지난 11월3일 경기도청에서 ‘대학생과 함께하는 텀블러 사용문화 활성화 캠페인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4일 밝혔다. LG전자는 환경보호 등 가치소비에 관심이 많은 젊은 고객의 특성을 고려해 경기도 내 21개 대학교에 마이컵을 설치, 12만여 명의 학생들이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대신 편리하게 자신의 컵을 세척할 수 있도록 했다. 마이컵에는 LG전자의 축적된 식기세척기 기술 노하우가 적용됐다. 360도로 회전하는 세척 날개와 65도 고압수로 텀블러 내∙외부 및 뚜껑을 동시에 씻어 세척력이 뛰어나다. 이용자는 30초 이내로 빠르게 세척해주는 '쾌속 코스'와 보다 꼼꼼히 세척 및 건조해주는 '표준 코스(4분)'와 '건조 코스(9분 50초)' 등 3개 코스를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마이컵은 글로벌 인증시험기관 'TUV 라인란드(Rheinland)'로부터 표준 코스 진행 후 대장균, 리스테리아, 살모넬라균 등 유해균 3종이 99.999% 제거되는 것으로 검증받았다. 이용자들은 마이컵 앱을 통해 마이컵이 설치된 주변 장소 확인 및 기기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11월3일 코스닥 시장은 거래량 상위 종목 중심으로 극단적 변동세를 보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대한광통신(010170)은 4천만주 이상이 거래되며 거래량 1위를 차지, 주가가 29.1% 급등했다. 거래대금은 1,146억 원으로 시가총액의 3.1%에 달했다. 재영솔루텍(049630)도 17.79% 급등하며 4,561억 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 AI·로봇株 폭등…노타·티로보틱스 ‘급등 선두’ 눈에 띄는 종목은 인공지능(AI) 솔루션 기업 노타(486990)와 로봇 자동화 기업 티로보틱스(117730)다. 노타는 31,450원까지 치솟으며 245.6% 폭등, 거래대금이 6,063억 원으로 시가총액의 9%를 넘어섰다. 티로보틱스 역시 29.75% 상승하며 1,526억 원 규모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이들 종목은 AI 반도체·로봇 테마 수급이 집중되며 투자자들의 단기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휴림로봇(090710), 클로봇(466100), 로보로보(215100) 등 로봇 관련주들도 9~15%대 강세를 보였다. 특히 휴림로봇은 7,060원으로 9.46% 상승, 거래량 2,987만주를 넘기며 활발한 거래가 이어졌다. ■ 일부 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