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대형 증권사들의 가파른 성장세가 증권업계 전반의 분위기를 바꾸고 있다. 종합금융투자계좌(IMA) 인가 등으로 업계 내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 간 규모별 실적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투자증권은 3분기 누적 순이익이 약 1조 6761억원에 달하며, 사실상 증권사들도 ‘연간 순이익 2조원’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수치는 5대 시중은행 중 하나인 NH농협은행(순이익 1조5796억원)보다 더 많았다.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는 미래에셋증권도 3분기 누적 순이익이 이미 1조원을 넘겼다.
증시 호황에 맞춰 거래대금이 급증하며 증권사들의 실적 전망도 잇달아 상향 조정되고 있지만, 중소형사들과의 실적 간극은 여전히 크게 벌어져 업계에서는 ‘양극화’ 문제가 계속해서 거론된다.
이런 가운데, 실적 1·2위를 기록 중인 대형사 두 곳(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에 IMA 사업 인가가 허용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IMA는 자기자본 8조원 이상인 증권사에만 허용되는 계좌로, 고객 예탁금을 기업금융(IB)과 대체투자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시중 자금이 대형사로 더욱 집중되는 결과를 낳고, 중소형 증권사들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자기자본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중소형 증권사들도 자기자본을 늘려 대형 증권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교보증권은 장기적으로 자기자본 3조원 이상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교보증권의 3분기 자기자본은 약 2조 1231억원이었다. 유안타증권은 지난 18일에 약 17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해 자기자본을 1조 8000억원대로 늘렸고, 현대차증권도 지난 3월 증자를 거쳐 자기자본을 약 1조 4000억원으로 끌어올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증시 호황으로 인한 증권사 실적 성장은 철저히 대형사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이 현실”이라며, “앞으로도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양극화는 다각도에서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종합금융투자계좌(IMA)는 자기자본 8조 원 이상 대형 증권사만 운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투자계좌로, 고객 예탁금을 기업금융(IB)·대체투자·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자유롭게 배분할 수 있는 통합 운용 시스템을 말한다. 일반 증권 계좌보다 운용 범위가 훨씬 넓어 고객 자금을 일종의 ‘종합 투자 포트폴리오’처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IMA 인가 여부가 증권사 간 격차를 키우는 핵심 제도”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