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코스피가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과 중국의 ‘한일령(限日令)’ 강화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에 힘입어 4,000선을 회복했다.
11월2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75.34포인트(1.92%) 오른 4,004.85에 마감했다. 장중 4,059.37까지 치솟으며 랠리를 이어갔지만, 오후 들어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 폭은 소폭 축소됐다. 이날 증시는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7,500억 원)과 외국인(6,400억 원)의 동반 순매수세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은 1조 4천억 원가량을 순매도하며 매물을 내놨다.
가장 강력한 모멘텀은 엔비디아였다. 젠슨 황 CEO가 실적 발표 자리에서 “블랙웰 수요가 엄청나다”며 AI 거품론을 강하게 일축하자 반도체 전반의 투자 심리가 살아났다.
삼성전자는 4.25% 급등한 10만 600원으로 ‘10만전자’에 복귀했고, SK하이닉스도 1.60% 오른 57만 1천 원에 마감했다. 이수페타시스(4.47%), 한미반도체(2.32%) 등 반도체 밸류체인도 동반 상승세를 기록했다.
중국의 일본 제재 성격의 ‘한일령’ 강화도 한국 증시에 훈풍으로 작용했다. 중국 내 일본산 수산물 규제 등 보복 조치로 한국 소비재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 화장품·여행·카지노 업종이 일제히 뛰었다. 에이블씨엔씨(16.61%), 토니모리(7.19%), 아모레퍼시픽(5.56%) 등이 급등했고, 여행·카지노 업종에서는 롯데관광개발(14.97%), 파라다이스(13.65%), GKL(5.92%) 등이 강하게 상승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압도적 실적이 AI 거품론을 잠재우며 외국인 수급을 되돌렸다”며 “중·일 갈등 심화에 따른 한국 소비재 업종 반사이익 기대도 지수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다만 그는 “12월 금리 인하 기대 약화 등 거시 변수는 여전히 부담이며, 외국인 매수세가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업종별로는 유통(3.20%), 기계(3.10%), 전기·전자(2.82%)가 강세였고, 보험(-0.29%), 음식료(-0.21%) 등은 소폭 하락했다. 코스닥은 20.62포인트(2.37%) 오른 891.94에 마감했다. 펩트론이 15.40% 급등했고 알테오젠(2.39%), 에코프로(4.79%) 등이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달러-원 환율은 2.30원 오른 1,467.90원으로 마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