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6.4℃맑음
  • 강릉 7.2℃맑음
  • 서울 5.7℃맑음
  • 대전 7.0℃맑음
  • 대구 7.7℃맑음
  • 울산 7.1℃맑음
  • 광주 7.4℃맑음
  • 부산 9.4℃맑음
  • 고창 7.0℃구름조금
  • 제주 11.0℃흐림
  • 강화 4.4℃맑음
  • 보은 5.5℃맑음
  • 금산 6.3℃구름조금
  • 강진군 9.3℃구름많음
  • 경주시 7.5℃맑음
  • 거제 8.7℃맑음
기상청 제공

2025.11.18 (화)

부동산 규제에 증여만 급증…강남3구 新고가도 늘어

강남·서초·송파 증여 비중 21.6%...“세제 개편 앞두고 증여 전환”
서울 집값 상승률 둔화됐지만 성동·서초·송파·용산은 반등세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등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끌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등 소위 '상급지' 지역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집주인 사이에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매 대신 증여를 고민, 선택하는 흐름도 나타나고 있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10월 아파트 등 서울 집합건물 증여 건수는 6,718건으로 집계됐다. 강남구 증여 건수가 572건으로 가장 많았고, 양천구(481건), 송파구(450건), 서초구(430건)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전체 증여 건수의 21.6%에 해당하는 1,452건이 고가 아파트가 몰려있는 강남3구에서 집중됐다.

 

정부의 부동산 세제 개편 방침에 따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가 내년 5월에 끝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세금을 내는 이들보다 증여세를 내고 자녀에게 물려주는 집주인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권대중 한성대 일반대학원 경제·부동산학과 교수는 "만성적인 주택 공급 부족과 부동산 규제 등으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집값이 더 오를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가 있다"며 "정부의 부동산 세제 개편 예고에 차라리 자녀에게 증여하는 게 이득이라고 판단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10·15 대책 이후 서울 집값 상승 폭과 거래량은 축소됐으나 상승세는 여전하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둘째 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7% 상승했다. 서울 집값 주간 상승률은 10·15 대책 발표 직전 0.54%에서 매주 0.5%, 0.23%, 0.19% 등으로 상승 폭이 둔화됐다.


다만 성동·서초·송파·용산구는 집값 상승 폭이 전주 대비 커졌다. 성동구(0.29%→0.37%)는 전주 대비 상승 폭이 0.08%p 상승했다. 용산구(0.23%→0.31%), 송파구(0.43%→0.47%), 서초구(0.16%→0.20%)도 대책 발표 이후 3주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은 "전반적인 시장 관망세가 이어지며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일부 선호 단지 및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 상승거래가 체결되며 서울의 경우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강남 지역에서는 신고가 경신 사례도 잇따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10·15 부동산 규제 대책 발표 전(10월 1~14일) 강남3구의 신고가 매매 건수는 67건에 불과했지만, 대책 발표 이후인 15~28일에는 108건으로 6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용산구의 신고가 거래 건수도 2건 늘었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



영상

더보기

공시 By A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