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의 오피스 빌딩을 주택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부동산 공급난 해소의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10월29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총재는 “서울시가 검토 중인 여러 오피스 공급안을 주택으로 바꾸는 것이 가장 설득력 있는 공급 확대책”이라며 “AI 시대에 오피스 수요는 감소하고 있어, 주택 전환이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이 산업 구조뿐 아니라 도시 공간 수요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AI 추세를 감안하면 전 세계적으로 오피스 수요는 줄어드는 방향”이라며 “이제는 기업 공간보다 가구를 위한 주택 공급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글로벌 주요 도시에서 확산 중인 ‘오피스→주거용 리모델링(Office-to-Residential Conversion)’ 추세와도 맞닿는다.
특히 서울은 신규 주택 부지 확보가 한계에 달한 상황에서 유휴 오피스 빌딩의 활용이 현실적인 공급 확충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총재는 단순한 공급 확대가 수도권 집중을 가속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공급을 늘리면 지방 거주자들이 ‘똘똘한 한 채’를 찾기 위해 수도권으로 더 유입되는 부작용이 나타난다”며, “전국 몇몇 거점 도시에 대체 주거·산업 인프라를 마련해야 악순환을 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중앙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단순히 ‘양적 공급’에 그치지 않고,
균형발전 전략과 연계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공급과 수요 대책을 분리해서 볼 것이 아니라 일관성 있는 종합정책이 필요하다”며, 단기적으로는 수요 억제 및 기대심리 차단 정책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부동산 세제와 관련해 “보유세의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근본적인 개혁이 몇 년간 지속돼야 한다”며 정책 일관성을 강조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이번 발언을 “금리·유동성 중심의 거시정책에서 벗어나, 공급 구조와 지역 균형까지 고려한 도시 공간 정책의 방향 전환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