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KT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공식 획득했다. 이번 지정으로 KT는 통신 기반 항공 인프라의 상용화 주체로 자리 잡으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 부상했다.
10월22일 KT는 국토부가 부여한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열린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 사업에서 통합 운용성과 비행 안전성, 관제 시스템 연동 등 핵심 기술을 성공적으로 검증한 바 있다.
UAM 특별법이 요구하는 장비·인력 기준을 모두 충족한 것은 물론, 자체 구축한 5G 항공통신망과 AI 기반 운항통제 기술력이 국토부 평가단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로써 KT는 국내 UAM 상용화 로드맵에서 선도 사업자 지위 확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얻게 됐다.
KT는 오는 10월 말부터 인천 계양~청라 아라뱃길 구간에서 진행되는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에 참여한다. 이번 사업은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이 함께하는 ‘K-UAM 원팀’ 프로젝트로, 국내 최초로 도심 환경에서의 UAM 통신·관제 통합 운용성을 검증한다.
KT는 실증 구간에서 5G 항공망 기반 초정밀측위기술(RTK-GNSS)을 적용, 기존 항공감시체계(ADS-B, MLAT)와 연동해 △비협력 비행체 감시 △GPS 두절 시 위치 추적 등 저고도 공역 통제 기술을 시험한다. 또한 통신 장애, 기상 악화, 기체 이상 등 실제 운항 중 돌발상황을 가정해 AI 기반 UAM 교통관리체계(Traffic Management System)의 실시간 판단·통제 기능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원만호 KT 기술혁신부문 본부장(상무)은 “KT가 국토부 실증사업자 자격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UAM 상용화 기반을 마련했다”며 “현대차·인천공항 등 원팀 5개사와 협력해 2단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한국형 UAM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