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25 (목)

전 세계 암호화폐 백만장자 24만 명 돌파, 한국에서도 제도 완비 움직임

국내 암호화폐 사용자 1,600만명 시대…"주식 투자자 수 넘어서"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24일 Crypto Wealth Report 2025(Henley & Partners)에 따르면 전 세계 암호화폐 보유 백만장자 수가 241,700명으로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다. 이 중 비트코인 보유 백만장자가 70% 늘어 145,100명에 달했다.

암호화폐 시장의 전체 평가액은 지난 6월말 기준 약 3조 3,000억 달러로 1년 새 45% 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부의 급등은 백만장자 계층에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다.

1억 달러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센티 밀리어네어(Centimillionaires)'는 전년 대비 38% 증가한 450명이며, 암호화폐 억만장자 수는 36명으로 29% 증가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기관투자자 유입, 제도적 수용 확대, 비트코인 보유자의 급증 및 시장 가치 폭등 등 복합 요인들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Henley & Partners의 프라이빗 클라이언트 총괄 Dominic Volek은 "암호화폐 자산 급증으로 인해 정부와 자산관리사가 새로운 현실을 직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통 금융은 자산의 위치가 고정돼 있다고 보지만 암호화폐는 다르다"며 "12개 단어(비밀번호)를 외우기만 하면 한 개인이 10억달러 비트코인 자산을 안전히 보관할 수 있고, 독일에서든 중국에서든 즉시 자산에 접근할 수 있는 게 됐다”고 말했다.

 

이같은 흐름은 국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국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말 기준으로 국내에 1,600만 명 이상이 암호화폐 거래소 계정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억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도 1만명을 넘어섰다.

한편 같은 시점에  주식 투자자 수는 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 암호화폐가 대중들 사이에서 빠르게 투자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줬다. 

 

우리 정부는 암호화폐 관련 제도를 정비하며 투자자 보호와 시장 투명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비영리 기관과 대학교 등이 기부 받은 암호화폐를 올해 하반기부터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한 바 있다.

3,500개의 법인 및 전문투자자에게 실명 계좌를 통한 거래를 허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도 준비 중이다.

또한 가상자산 관련 일반 법안이 입법안으로 제안됐으며 법안에는 스테이블코인 준비금의 파산 방지자산 발행·유통 절차, 공시 의무, 불공정 거래 금지 등의 조항이 포함될 예정이다. AML(자금세탁방지) 및 KYC(고객확인제도) 의무가 강화되고 있으며 인증된 정보보안 관리 시스템(ISMS) 획득, 실명 계좌 의무 등도 강조되고 있다.

 

암호화폐 자본이득 과세는 20% 수준으로 계획됐으나,  실제 시행은 2027년으로 미뤄졌다. 현재로서는 실사용 과세 체계가 완전히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해 여전히 논의를 진행 중이다.

가상자산 보유 기업들에 대한 재무제표 공시 의무 강화 움직임도 눈에 띈다. 기업이 암호화폐를 보유하거나 발행하는 경우, 해당 자산의 양과 특성, 회계 정책 등이 재무제표에 명확히 드러나야 한다는 초안이 제안된 바 있다.

 

제도의 완전한 정착과 시행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함에 따라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준비가 요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