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미국 뉴욕증시는 세계 금융시장의 바로미터로 불리며, 이 가운데 대표적인 세 가지 지수인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지수(S&P 500), 나스닥 종합지수(Nasdaq Composite)가 글로벌 투자자들의 핵심 지표 역할을 하고 있다.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미국을 대표하는 30개 대형 우량주로 구성된 지수로, 1896년 미국 경제 전문지 월스트리트저널(The Wall Street Journal)의 창립자인 찰스 다우(Charles Dow)가 처음 고안했다. 산업, 금융, 소비재, 헬스케어 등 주요 산업을 망라한 대표 기업군이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경제의 체온계’로 불린다. 최근에는 기술주 비중이 낮다는 점에서 ‘전통 제조·산업 중심 지수’로 평가되며, S&P500이나 나스닥 대비 보수적 흐름을 보인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지수(S&P500) S&P500 지수는 미국 증시의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을 대표하는 종합 지수로, 가장 폭넓고 객관적인 시장 지표로 꼽힌다. 애플(Apple), 마이크로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비트코인 가격이 사흘 만에 11만달러선을 다시 돌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관세 완화 발언과 미 연방정부 셧다운(업무정지) 종료 기대감이 맞물리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영향이다. 뉴욕증시 3대 지수도 일제히 1%대 상승하며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10월21일(한국시간) 오전 6시27분 기준, 비트코인은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전장보다 2.03% 오른 11만850달러 수준에서 거래됐다. 비트코인 가격이 11만달러를 회복한 것은 사흘 만으로, 최근 단기 조정 이후 다시 상승 추세로 돌아선 모습이다. 이 같은 비트코인 강세는 가상자산 관련주 전반으로 번졌다.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보유한 스트래티지(MicroStrategy·NASDAQ:MSTR)는 2.33% 상승했다. 스트래티지는 10월 13일부터 19일까지 평균 11만2051달러에 비트코인 168개를 추가 매입했다고 밝혔다. 거래 플랫폼 기업 로빈후드 마케츠(NASDAQ:HOOD)와 코인베이스 글로벌(NASDAQ:COIN)도 각각 4.53%, 2.31% 상승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 인터넷 그룹(New York Stock Exchange:CRCL) 역시 3.4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큐로셀(372320)은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자사 CAR-T 치료제 CRC01(안발캅타젠오토류셀, 이하 안발셀)의 임상시험계획 변경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은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성인 백혈병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CRC01의 제1/2상 임상시험에 대한 것으로, 시험 설계의 일부 조정과 분석 방법의 개선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코호트 2B의 시험대상자 수 조정, 새로운 가설 추가, 분석군 정의 명확화, 분석 원칙 수정, 그리고 통계가설에 적합한 통계분석 방법의 추가 등이 있다. CRC01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의 거대 B세포 림프종 및 B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내약성, 안전성,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 중이다. 해당 임상시험은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한 국내 주요 의료기관에서 다기관, 공개, 단일군 방식으로 진행되며, 환자 투여 후 최대 60개월간의 추적 평가가 이뤄질 예정이다. 임상 1상에서는 CRC01의 최대내약용량(MTD)과 2상 권장용량(RP2D)을 결정하며, 임상 2상에서는 독립적인 평가를 통해 치료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를 운영하는 두나무(Dunamu)는 2012년 설립된 핀테크·블록체인 전문기업으로, 현재 국내 가상자산 산업을 대표하는 선도 사업자다. 본사는 서울 강남구에 위치하며, 2024년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장 점유율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두나무는 2017년 10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비트렉스(Bittrex)와 제휴해 업비트(Upbit)를 출시하며 국내 가상자산 거래 시장에 본격 진입했다. 출범 직후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철저한 보안 시스템, 은행 실명계좌 연동 등을 통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고, 현재는 일평균 거래금액이 10조 원 안팎에 달한다. 업비트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주요 가상자산뿐 아니라, 국내외 신규 코인 상장에도 적극적이며, 글로벌 거래소 수준의 투명한 상장 심사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21년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 이후 금융위원회로부터 정식으로 가상자산사업자(VASP) 인가를 획득해 합법적으로 영업 중이다. 두나무는 단순 거래소를 넘어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비상장주식 거래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에코프로비엠(코스닥: 247540)이 종업원 상여금 지급을 위해 약 104억9204만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처분한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은 보통주 6만5168주를 주당 16만1000원에 처분할 예정이며, 처분 기간은 2025년 10월 22일부터 2026년 1월 21일까지다. 이번 처분은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를 임직원의 증권 계좌로 직접 이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처분 전 에코프로비엠의 자기주식 보유량은 보통주 7만1865주(지분율 0.07%)였으며, 이번 처분으로 대부분의 자사주가 소진될 전망이다. 회사 측은 “처분 금액은 이사회 결의일 직전일인 10월 17일 종가를 기준으로 산정했다”고 밝혔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대표 IT기업 네이버(NAVER)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Upbit) 운영사 두나무의 합병 추진이 10월20일 국정감사장에서 정면 도마에 올랐다. 거래가 현실화될 경우 재계 판도를 뒤흔들 초대형 빅딜임에도, 합병 절차와 정보공개가 ‘깜깜이’ 수준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은 “네이버와 두나무의 합병은 산업적으로 긍정적일 수 있으나, 투명성과 절차적 정당성이 심각하게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민 의원은 “재계 순위 22위 네이버와 36위 두나무가 합치면 KT(13위)에 이어 재계 14위 규모의 거대 플랫폼 기업이 탄생한다”며 “이런 대형 거래임에도 공식 문서는 ‘한 줄 공시’뿐”이라고 지적했다. 네이버는 앞서 조회공시를 통해 ‘두나무와 주식교환을 포함한 협력 관계를 검토 중이나,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미 구체적인 합병 시나리오와 주식교환 비율이 거론되고 있으며, 주가와 거래량이 급등한 점을 문제 삼고 있다. 민 의원은 “관련 보도가 오후 3시경 나왔는데, 그보다 훨씬 이른 오전 10시 40분부터 네이버 주가와 거래량이 급등했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글로벌 산업 전반에 걸쳐 인공지능(AI) 도입을 이유로 한 대규모 해고 바람이 불고 있다. 빅테크부터 항공사, 핀테크, 교육 플랫폼까지 산업을 가리지 않고 감원 소식이 이어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AI가 진짜 이유가 아니다”라며 ‘AI 해고론’에 대한 회의론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는 지난주 “AI 관련 재교육에 실패한 직원들을 신속히 퇴출한다”며 구조조정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항공사 루프트한자(Lufthansa) 역시 AI 기반 효율화를 이유로 2030년까지 4천명 감축 계획을 내놨다. CRM(고객관계관리)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Salesforce)는 “AI가 업무의 50%를 대체할 수 있다”며 고객지원 인력 4천명 해고를 단행했다. 핀테크 기업 클라르나(Klarna)는 AI 도입 이후 전체 인력의 40%를 감축했고, 언어 학습 플랫폼 듀오링고(Duolingo)는 계약직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AI로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처럼 AI가 기업 구조조정의 ‘명분’으로 등장하면서, AI 기술 발전이 효율성 향상보다는 인건비 절감을 위한 방패막이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2024년 기준 장애인의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여전히 전체 인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지표는 남성에 비해 더욱 열악해, 성별에 따른 '이중 격차' 문제도 심각하게 지적되고 있다. 심각한 장애인 고용지표: 전체 인구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5.9%로, 전체 인구의 64.7%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고용률 역시 장애인은 34.5%에 그쳐 전체 인구 고용률(63.3%)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실업률에서도 장애인은 4.0%로 전체 인구(2.3%)보다 1.7%포인트 높았다. 이는 장애인이 노동시장에 참여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실제 취업까지 이어지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성별 격차 심화: 여성 장애인의 이중고 특히 성별에 따른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남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4.6%, 고용률은 42.6%였으나, 여성 장애인은 각각 24.2%와 23.5%로 남성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실업률의 경우 남성은 4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한화 건설부문과 포스코이앤씨는 인천 남동구 간석동 일원에 건립되는 '포레나더샵 인천시청역'을 11월 분양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이 단지는 상인천초교 재개발 사업으로 조성된다. 지하 4층~지상 최고 35층, 총 24개 동, 전용면적 39~84㎡ 총 2568가구 중 735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단지는 인천지하철 1·2호선을 이용할 수 있는 인천시청역과 인천지하철 1호선 간석오거리역이 도보권에 있고 경인로로 수도권제1·2순환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 진입도 수월하다. 광역버스를 이용하면 서울 합정·홍대입구까지 약 1시간 내외로 이동할 수 있다. 인천시청역에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 노선의 개통이 예정돼 있어 교통 편의성과 미래가치가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GTX-B 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경기 남양주 마석까지 약 82.8km를 잇는 동서축 고속 철도망으로, 서울 주요 업무지구인 여의도, 용산, 서울역, 청량리 등을 빠르게 오갈 수 있다. 이와 함계 바로 앞에 상인천초교가 있고 반경 1km 내에 상인천중·구월중·간석여중·신명여고·인제고·인천예술고교 등이 밀집해 있다. 생활 인프라도 풍부하다. 홈플러스(구월점), 롯데백화점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하나카드는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EQBR과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제화 이전 기존 시스템 내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사전 테스트 진행함으로써, 향후 구체화된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양사는 하나카드에 스테이블코인 기반 기술을 접목해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디지털 자산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준비하는 한편, 블록체인 기반 금융 신사업 전반에서의 협력 기회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하나카드는 트래블로그로 축적한 외화환전 및 글로벌 결제 경험을 기반으로, 스테이블코인과 하나머니 간의 전환 및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기존 금융 서비스와 블록체인 기반 생태계를 연결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EQBR은 자사의 블록체인 인프라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지갑과 하나카드 서비스의 원활한 연동을 구현하는 것은 물론, 양사가 함께 공동 솔루션을 검증하고 사업화 모델을 발굴함으로써 금융과 블록체인 융합을 현실화한다. 아울러 양사는 서비스 안정성과 고객 보호 체계를 전제로 적용 범위를 순차적으로 확대하고, 국내외 시장 진출 가능성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