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테슬라(NAS:TSLA)가 10월22일(미국 현지시간)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그러나 이번 발표의 초점은 숫자가 아니라 ‘AI(인공지능)와 로보틱스 전략’에 쏠리고 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일제히 “테슬라의 핵심은 실적이 아닌 미래 기술 구도”라며 AI·로보택시·옵티머스 로봇 등 신성장 축에 주목했다. 웨드부시(Wedbush Securities)의 댄 아이브스(Dan Ives) 애널리스트는 이번 실적을 “AI 서사의 새로운 서막”으로 규정했다. 웨드부시는 뉴욕에 본사를 둔 미국 대표 기술·성장주 전문 투자은행으로, 테슬라·애플·엔비디아 등 빅테크 분석에 강점을 지닌 기관이다. 아이브스는 투자자 노트에서 “테슬라의 단기 실적과 가이던스보다 AI 이니셔티브(AI Initiative)가 훨씬 중요하다”며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한 로보틱스 진화가 테슬라의 1조 달러 성장 스토리를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테슬라 목표주가를 600달러로 상향하며, 이는 전일 종가(442.60달러) 대비 약 38%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아이브스는 “자율주행이 현실화되면 테슬라의 수익 구조는 자동차 제조에서 AI 서비스 플랫폼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BNK부산은행은 창립 58주년을 맞아 약 580억원 규모, 최고 연 5.0% 금리의 'Only One 주거래 법인적금'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상품은 법인전용 특판 적금으로, 가입기간은 1년이며 월 최대 580만원(1년 최대 6960만원)까지 불입할 수 있다. 판매기간은 내년 3월31일까지이며, 한도 1천좌가 소진되면 조기 종료될 수 있다. 기본금리는 연 2.00%이며, 창립 58주년 기념 특판 우대금리 0.30%p(포인트)를 가입한 모든 고객에게 제공합니다. 여기에 거래실적에 따라 최대 2.70%p의 추가 우대금리가 적용돼, 최고 연 5.00%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거래실적 우대금리는 ▲대출 ▲정기예금 ▲입출금 평잔 ▲외환 실적 ▲신용(체크)카드 실적 등 총 5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의 조건 달성 시 최대 1.70%p까지, 모든 항목 달성 시 추가 1.00%p의 '주거래 우대금리'가 제공된다. 부산은행은 지난 6월 개인고객을 대상으로 'Only One 주거래 우대적금'을 선보인데 이어, 이번에는 법인고객을 위한 맞춤형 주거래 상품을 출시함으로써 고객군별 차별화된 혜택 라인업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강석래 부산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증시가 단기 랠리 이후 3,900선 문턱에서 상승세를 멈추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장 초반 신고점을 경신하며 3,900선 돌파를 시도했으나, 반도체 대형주의 급등 피로감과 환율 급등세가 맞물리며 상승 폭을 대부분 반납했다. 10월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9.15포인트(0.24%) 오른 3,823.84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3,851.01로 출발해 장중 3,893.06까지 고점을 높였지만, 3,900선에서 매물 부담이 확인되며 상승분을 되돌렸다. 이달 들어 코스피는 3,400선을 출발해 3,800선을 단숨에 돌파하며 불과 3주 만에 13% 넘게 급등했다. AI 투자 열풍이 반도체 수요 확대 기대감으로 이어지며 지수를 끌어올렸지만, 레벨 부담과 외환시장 변동성이 새로운 변수로 부상했다. ■ 삼성전자·하이닉스 ‘쌍두마차’ 고점 부담… 외국인, 매수에서 매도로 전환 이날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장중 9만9,900원(+1.83%)까지 오르며 ‘10만전자’ 달성을 눈앞에 뒀고, SK하이닉스는 장중 50만2,000원(+3.40%)으로 신고점을 경신했다. 하지만 지수가 3,900선 저항에 부딪히자 외국인 매수세가 둔화되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 경영진이 미국 헌팅턴 잉걸스 조선소를 방문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헌팅턴 잉걸스는 이달초 HD현대중공업 경영진이 미국 미시시피주에 있는 잉걸스 조선소에 초청해 사흘간 협력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앞서 4월 ‘선박 생산성 향상 및 첨단 조선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각 사가 보유한 함정 건조 분야 전문성과 역량을 결합해 선박 건조의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건조 비용과 납기를 개선하기 위한 노하우와 역량을 공유하기로 했다. 당시 MOU는 현존 최고 사양의 이지스함 건조 역량을 갖춘 한국과 미국의 대표 조선 기업 간 최초의 협력 사례로 주목받았다. 헌팅턴 잉걸스와 HD현대중공업 경영진은 방문 기간 조선 분야 건조 기술 및 공정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상업 및 군함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HD현대중공업 경영진은 잉걸스 조선소 건조 현장을 꼼꼼하게 점검하고, 첨단 로봇기술과 선박 건조 현대화 현장도 둘러본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이언 블란쳇 잉걸스 조선소 사장은 “이번 방문에서 도출된 아이디어들을 발전시켜 미 해군 함대의 핵심 함정에 대한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LG생활건강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에서 럭셔리 코스메틱 브랜드 ‘더후’의 궁중 문화 헤리티지를 체험할 수 있는 ‘더후 아트 헤리티지 라운지’를 열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이달 28일부터 31일까지 경주 보문단지 황룡원에서 진행되며,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에 참가한 글로벌 CEO의 배우자와 VIP를 대상으로 마련됐다. 올해 서밋에는 엔비디아 젠슨 황 CEO, 씨티그룹 제인 프레이저 CEO, 방탄소년단 RM 등 전 세계 주요 기업인과 인사 1700여명이 참석했다. 더후는 신라 시대 국빈을 맞이하던 공간 ‘동궁과 월지’를 모티브로, 한국 궁중 문화의 예술성과 브랜드의 철학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참가자들은 브랜드 대표 제품인 ‘환유고’를 비롯한 다양한 환유 라인을 직접 체험하며, 산삼 향과 질감, 효능을 느끼는 시간을 가졌다. LG생활건강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스킨 롱제비티(Skin Longevity)’ 연구를 기반으로 한 더후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를 전달했다. 행사장에서는 서울특별시 무형유산 제1호 칠장 수곡(守谷) 손대현 장인이 직접 옻칠 공예 시연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소비자 참여형 공익 마케팅(CSR with storytelling)’은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단순한 기부나 일회성 이벤트로 끝내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고 공감할 수 있는 서사(스토리텔링)를 결합한 마케팅 전략을 말한다. 이 방식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브랜드 스토리와 연결함으로써,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거나 캠페인에 참여하는 행위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으로 인식되도록 설계된다. 즉, 기업이 주체가 아닌 소비자가 ‘함께 주인공이 되는 공익 캠페인’을 통해 참여와 공감, 경험 중심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이끄는 것이 핵심이다. 최근 유통·콘텐츠 업계에서는 이러한 스토리텔링 기반의 CSR이 브랜드 충성도 제고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이미지 강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새로운 마케팅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삼성전자가 일본 소프트뱅크와 차세대 통신 기술 공동 연구를 위한 기술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은 6G 이동통신과 AI 기반 네트워크 기술 등 미래 통신 분야의 핵심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한다. 양사는 차세대 통신 기술을 ▲6G ▲AI for RAN ▲AI and RAN ▲Telco LLM 등 네 가지 분야로 구분하고, 이를 중점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핵심 기술의 공동 연구 및 검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6G 통신 표준화가 본격화되고, 7GHz 등 신규 주파수 대역이 논의되면서 AI를 활용한 무선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인 AI-RAN(AI-based Radio Access Network)이 주목받고 있다. AI for RAN은 무선접속망의 효율적인 관리와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로, 향후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핵심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또한,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의 워크로드와 통신 기지국의 워크로드를 통합·운용하는 AI and RAN 기술은 사용자 경험과 기지국 운영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분야로 평가된다. 아울러 통신 네트워크에 생성형 AI를 적용하는 Telco LLM 기술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삼성전자가 글로벌 사회공헌 플랫폼 ‘삼성 글로벌골즈(Samsung Global Goals)’를 통해 지난 6년간 누적 기부금 2,200만 달러(약 300억원)를 돌파했다고 10월2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2019년 유엔개발계획(UNDP)과 파트너십을 맺고 해당 앱을 선보였다. 사용자는 갤럭시 스마트폰, 태블릿, 워치 등에 기본 탑재된 앱을 통해 ‘양질의 교육’, ‘기후 변화 대응’, ‘깨끗한 바다 만들기’ 등 UN이 제시한 17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올해 9월 기준,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5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출시 이후 6년간 전 세계적으로 꾸준한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 광고 한 편이 ‘기부금’으로… 매칭펀드 통한 ‘참여형 ESG’ 확산 ‘삼성 글로벌골즈’ 앱의 핵심은 참여형 기부 구조다. 사용자가 앱 내에서 교육용 콘텐츠를 학습하거나 광고를 시청하면 그 수익이 자동으로 적립돼 기부로 전환된다. 또한 삼성전자는 사용자가 광고 시청으로 모은 수익금과 동일한 금액을 추가 기부하는 ‘매칭 펀드(Matching Fund)’ 제도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개인의 작은 참여도 두 배의 효과를 내며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두바이는 중동•아프리카•남아시아(MEASA) 지역의 선도적 글로벌 금융 허브로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이번 발표는 두바이 국제금융센터(DIFC)의 등록 기업 수가 8000개를 넘어선 시점과 맞물린다. 이 중에는 DIFC의 독립 규제 기관인 두바이 금융서비스청(DFSA)의 감독을 받는 1000개 이상의 법인이 포함돼 있다. 또한 DIFC 법원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총 175억 아랍에미리트디르함(AED) 규모의 사건을 처리했다. 두바이는 글로벌 금융센터 지수(Global Financial Centre Index)에서 세계 11위로 상승하며, 지역 내 가장 신뢰받는 금융 중심지이자 세계 4대 핀테크 허브로서의 입지를 더욱 굳혔다. 에사 카짐(H.E. Essa Kazim) DIFC 총재는 "두바이 경제 어젠다(D33) 추진을 위한 DIFC의 핵심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는 금융 서비스 산업의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인재를 유치하며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신흥 금융 허브의 기준으로 자리매김한 DIFC의 성공은 기업이 단순히 사업 허가를 받는 수준을 넘어 산업을 선도하며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삼성증권은 30억원 이상 고객이 5000명을 넘어섰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증권은 2025년 9월 말 기준 자산 30억 원 이상 고객 수가 5,449명을 기록하며,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초고액자산가 고객층의 빠른 성장과 함께 자산 운용 방식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대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30대가 194%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184%), 20대(178%), 50대(147%), 60대(93%), 70대 이상(3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층에서도 초고액자산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초부유층 고객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0%에서 2025년 9월 말 11.5%로 11.5%p 감소하며, 투자 자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리밸런싱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해외자산 비중은 12.6%에서 23.2%로 10.6%p 증가하며 글로벌 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국내 주식 투자 비중도 올해 들어 5.1%p 확대되는 등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