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국내 10대 금융지주회사가 올해 상반기 15조4,428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조3,872억 원(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월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지주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은행 부문이 전체 순익의 59%를 차지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금융투자(16.4%)와 보험(13.4%)이 뒤를 이었다. 이익 증감 추이를 보면, 은행 부문이 1조6,898억 원 증가, 금융투자 부문이 4,390억 원 늘었다. 반면 보험(-932억 원)과 여신전문회사(-3,343억 원)는 이익이 감소했다. 이는 고금리 환경에서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 차)이 확대되며 은행이 수익을 늘린 반면, 보험과 여전사는 채권평가손실 및 연체율 상승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총자산 3,867조 돌파… 은행 자산 비중 74% 올해 6월 말 기준 금융지주사들의 연결총자산은 3,867조5천억 원, 전년 말(3,754조7천억 원)보다 112조8천억 원 증가했다. 총자산 비중은 은행(74.2%), 금융투자(11.5%), 보험(6.7%), 여신전문회사(6.1%) 순이었다. 이는 은행 중심 구조가 여전히 공고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 독점에서 벗어나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을 잡았다. 11월3일(현지시간) CNBC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은 오픈AI에 380억 달러(약 52조 원)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오픈AI는 AWS 인프라 상에서 수십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즉시 활용하게 되며, 향후 몇 년간 규모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계약 1단계에서는 기존 AWS 데이터센터를 활용하고, 이후에는 오픈AI 전용 인프라 구축으로 확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번 협력은 오픈AI가 더 이상 마이크로소프트만의 AI 파트너가 아님을 공식화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오픈AI는 2019년 마이크로소프트와 130억 달러 규모의 독점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했지만, 올해 1월 이 계약은 ‘우선 거부권’ 형태의 비독점 계약으로 전환됐다. 이후 기존 계약이 만료되면서 오픈AI는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본격 추진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게 됐다. AI 업계에서는 이번 행보를 “AI 인프라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오픈AI의 전략적 탈피”로 분석한다.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은 “프런티어(Frontier) AI를 확장하기 위해서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LS일렉트릭이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빛가람 국제전력기술 엑스포(BIXPO)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전력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LS전선과 공동으로 ‘에너지로 모든 것을 연결하다(Connect Everything with Energy)’를 주제로 진행되며, 총 108㎡ 규모의 전시관에서 다양한 혁신 솔루션이 공개될 예정이다. LS일렉트릭은 국내 유일의 전류형 HVDC(초고압 직류송전) 사업자로서의 기술력과 사업 수행 역량을 강조하며, 누적 수주액 1조 원을 돌파한 HVDC 사업 성과를 소개한다. 특히 ‘북당진~고덕’ 및 ‘동해안~수도권’ HVDC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과 함께, 국내 최대 용량인 500MW급 전압형 HVDC 변압기 개발 성과도 공개된다. 또한, 재생에너지 100%를 목표로 하는 RE100 산업단지를 위한 에너지 통합 관리 솔루션(FEMS)과 실제 구축 사례도 소개된다. LS일렉트릭은 최근 볼보그룹 코리아 창원공장에 태양광 발전설비와 연계한 FEMS를 성공적으로 구축한 바 있다.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초전도 전력 시스템 ‘하이퍼 그리드 NX’도 주목된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협의체 OPEC+가 12월에도 하루 13만7천배럴 수준의 원유 증산을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내년 1분기(1~3월)에는 증산을 일시 중단하며 공급 확대 기조에 제동을 걸었다. 이는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내년 글로벌 석유시장에 하루 최대 400만배럴 규모의 공급 과잉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데 따른 대응으로 풀이된다. 이번 결정은 사우디아라비아, 러시아, 아랍에미리트(UAE), 카자흐스탄, 이라크, 쿠웨이트, 오만, 알제리 등 8개 산유국이 11월2일(현지시간) 화상회의를 통해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OPEC+는 지난 10월과 11월과 같은 수준으로 증산 규모를 동결했다. 올해 4월 하루 13만8천배럴을 시작으로 5~7월엔 매달 41만1천배럴, 8~9월엔 54만배럴 이상 증산하며 공급을 꾸준히 늘려왔지만, 내년 1분기부터는 계절적 요인과 수요 둔화 가능성을 고려해 ‘잠시 멈춤’을 선택했다. 국제유가는 OPEC+ 결정 직후 안정세를 보였다. 브렌트유는 배럴당 87달러 안팎에서 등락했고, WTI(서부텍사스산원유)는 83달러대를 유지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OPEC+가 공급 확대보다는 시장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기술 창업 전문 투자사 퓨처플레이가 "‘기관전용 사모집합투자기구 업무집행사원(PE)’ 라이선스를 취득하며 전주기 투자 체계를 완성했다. 이번 자격 확보로 퓨처플레이는 예비창업부터 스케일업, 상장 이후 성숙 단계까지 기업의 전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투자 역량을 갖추게 됐다"고 3일 밝혔다. 퓨처플레이는 2013년 컴퍼니빌더로 출범한 이후, 2019년 액셀러레이터(AC) 라이선스, 2023년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VC) 자격을 차례로 취득하며 국내 첫 AC 확장형 VC 모델을 구축한 바 있다. 이번 PE 자격 취득은 그 연장선에서 기업 성장의 모든 순간을 함께하는 전방위 투자사로의 도약을 의미한다. 권오형 퓨처플레이 대표는 “투자한 기업이 상장 후에도 성장과 확장을 이어간다면, 그 이후의 여정까지 함께하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며 “자본 공급을 넘어 창업부터 상장 이후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투자 생태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최근 퓨처플레이는 권 대표 단독 체제로 전환하며 창업가 지원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확장을 준비하는 창업가에게는 해외 사업 개발과 국제 네트워크 구축, 후속 투자 유치를 지원하며, 딥테크 기업에는 단계별 자금
경제타임스 AI기자 | KG에코솔루션(094480)은 11월 7일 공시를 통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실적을 발표했다. 공시에 따르면 매출액은 2조731억6,9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88억 원으로 953.8% 증가하며 큰 폭의 개선세를 보였고, 당기순이익은 295억8,700만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 분기 대비로도 실적이 개선됐다. 매출액은 14.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1.7% 늘어났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직전 분기 대비 2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3분기 누적 기준 실적은 ▲매출액 5조6,266억6,000만 원 ▲영업이익 1,825억5,900만 원 ▲당기순이익 1,197억8,600만 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3.4% ▲영업이익 10.9%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21.8% 감소한 수치다. KG에코솔루션은 “지난해 지주회사로 전환되면서 발생한 관련 배당수익을 매출로 분류한 점이 실적에 일부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한편, 2024년 연결 기준 재무상태는 ▲자산총계 6조2,134억 원 ▲부채총계 3조2,544억 원 ▲자본총계 2조9,589억 원이며, 같은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HD현대중공업이 글로벌 해운 시장에서 또 한 번 의미 있는 수주 실적을 올렸다. 11월10일 회사는 글로벌 선사 ‘리저널 컨테이너 라인(Regional Container Lines, RCL)’과 약 4,353억 원 규모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2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건조되는 선박은 1만3,800TEU급으로, 길이 337m·너비 51m·높이 27.3m의 초대형 선형이다. 울산 HD현대중공업이 직접 건조에 나서며, 2028년 10월까지 순차 인도될 예정이다. RCL은 운항 선복량 기준 글로벌 21위에 해당하는 태국계 해운사로, HD현대중공업과의 첫 계약이라는 점에서도 상징성이 크다. ■ 올해 컨테이너선 61척 수주… ‘2배 성장’ 이번 수주로 HD현대그룹이 올해 확보한 컨테이너선은 총 61척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28척, 2023년 29척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실적이다. 컨테이너선 발주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 친환경 연료 전환, 물류 안정화 수요가 맞물리며 급증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친환경 추진 기술과 안정적인 품질 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선사들의 신뢰가 이어지고 있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유플러스가 3분기 영업이익 161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4.3% 감소했다. 하지만 일회성 인건비 1500억원을 제외하면 기저 영업이익은 오히려 26.7% 증가한 3117억원으로, AI·AIDC(Artificial Intelligence Data Center, 인공지능데이터센터) 중심의 구조적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LG유플러스는 11월5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수익 4조108억원, 서비스수익 3조1166억원, 영업이익 161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5.5%, 서비스수익은 4.2% 증가했다. 회사 측은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인건비 1500억원을 제외할 경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6.7% 늘어난 3117억원 수준”이라며 핵심 사업 성장세는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선(MNO)·알뜰폰(MVNO) 가입 회선이 전년 대비 8.6% 증가한 3,025만9000개로 사상 처음으로 3,000만 회선을 돌파했다. 무선 매출은 1조7114억원으로 5.6% 성장했다. AI 검색 기능을 적용한 통합앱 ‘U+ONE’과 맞춤형 서비스 ‘익시오(ixio) 2.0’ 업그레이드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김형남 다올투자증권 부회장이 새 국민대 총동문회장이 됐다. 국민대학교 총동문회는 지난달 31일 서울올림픽파크텔에서 김 부회장을 제42대 총동문회장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국민대 법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김 부회장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금융감독원 대전지원장과 인력개발실장을 지냈다. 삼성선물 상근감사, 하나자산신탁 상근감사위원, 다올투자증권 상임감사를 거쳐 현재 부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김 신임 동문회장은 "앞으로의 42회기는 모은 힘을 바탕으로 '소통하고 상생하는 활기찬 총동문회'를 만드는 혁신의 시간이 될 것"이라며 "모교가 AI, 양자 보안 등 미래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거듭하는 만큼 동문회는 모교의 비전이 사회적 결실을 보도록 실질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했다.
경제타임스 전영진 기자 |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1일 자폐성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 및 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달리기 캠페인 '2025 오티즘 레이스'에 참여했다고 3일 밝혔다. 오티즘 레이스는 하나금융그룹이 6년째 공식적으로 후원하고 있는 달리기 캠페인이다. 이 캠페인은 자폐성 장애(오티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포용적 사회를 조성하고자 사단법인 한국자폐인사랑협회가 개최한다. 이날 캠페인에는 이은형 하나금융그룹 부회장을 비롯해 그룹 임직원과 임직워 가족 300여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자폐성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해 모두가 함께 달리며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임직원들의 캠페인 참가비는 한국자폐인사랑협회에 전액 기부될 예정이다. 하나금융그룹은 지난 9월 한국자폐인사랑협회와 협약을 맺고 △자폐성 장애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 지원 △안전한 자금 관리를 위한 맞춤형 신탁 서비스 제공 △자폐성 장애 예술가 문화 예술 활동 지원 및 장애인 인식 개선 캠페인 후원 등 자폐성 장애인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다. 이은형 하나금융그룹 부회장은 "자폐성 장애에 대한 이해와 공감도를 높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