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내년 수도권 집값이 2~3% 상승하는 반면, 지방 집값은 인구 감소와 수요 기반 약화로 1% 내외 하락 또는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11월25일 서울 신대방동 전문건설회관에서 열린 내년 건설·주택 경기 전망 세미나에서 “수도권은 착공 감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3기 신도시 공사 지연 등 구조적 공급 부족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고 부연구위원은 올해 주택 시장은 전고점 회복 흐름 속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한층 심화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수도권은 매수 심리·거래·가격이 모두 회복됐지만,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약세로 하락·정체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건설시장 여건과 관련해 일부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음에도, 부정적 요인이 더욱 크게 부각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PF 불확실성 감소, 공사비 안정, 이익 지표 개선 등 우호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착공 감소 등 누적된 선행 지표 부진과 지역 건설 경기 양극화, 안전 규제 부담이 여전히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연구위원은 이어 “올해 건설 투자는 약 9.0% 감소한 264조원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에는 2% 증가한 269조원으로, 제한적 반등에 그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