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2.5℃맑음
  • 강릉 13.2℃맑음
  • 서울 13.4℃맑음
  • 대전 14.0℃맑음
  • 대구 15.1℃구름조금
  • 울산 14.4℃구름많음
  • 광주 12.9℃맑음
  • 부산 17.3℃구름조금
  • 고창 13.0℃맑음
  • 제주 15.2℃구름많음
  • 강화 11.3℃맑음
  • 보은 13.1℃맑음
  • 금산 13.7℃맑음
  • 강진군 14.8℃맑음
  • 경주시 14.7℃구름많음
  • 거제 14.6℃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11.03 (월)

SKT, AI 인프라 로드맵 공개…"국가대표 AI로 진화"

AWS·엔비디아와 손잡고 에지 AI·제조 혁신 가속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 대한민국 AI 허브 구축 박차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정재헌)은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공개하며, 대한민국을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정재헌 CEO는 이날 키노트 연설을 통해 ▲울산 AI 데이터센터(DC) 대규모 확장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의 글로벌 진출 ▲AWS·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기술 협력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AI DC 종합 사업자로의 진화를 골자로 하는 ‘AI Infra의 Now & Next’ 전략을 발표했다.

 

SKT는 울산 AI DC를 총 1GW 이상 규모로 확장해 수도권, 경남, 서남권을 잇는 국내 AI 인프라 거점을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SK이노베이션 등 그룹 관계사와 함께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시장에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을 앞세워 진출을 본격화한다.

 

글로벌 기술 협력도 강화된다. SKT는 AWS와 함께 ‘에지 AI’ 기술 상용화를 위한 R&D 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엔비디아와는 ‘AI-RAN(지능형 기지국)’ 기술 공동 연구 및 실증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초저지연·고효율 네트워크 기반의 AI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SKT는 RTX PRO 6000 GPU 2,000여 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SK하이닉스 등 그룹 제조사의 디지털 트윈 및 로봇 AI 기반 혁신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 CEO는 “AI DC 사업에서 기존의 역할을 확대해, 설계·구축·운영 등 AI DC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KT는 각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협력해 AI 인프라의 핵심 기술 영역*을 내재화해, 비용 효율적이고 빠른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제품화할 계획이다.

 

정재헌 CEO는 “AI 인프라는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이라며 “SKT는 대한민국 대표 AI 사업자로서 정부와 함께 AI G3 도약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