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1℃흐림
  • 강릉 15.7℃흐림
  • 서울 16.5℃흐림
  • 대전 19.4℃흐림
  • 대구 19.1℃흐림
  • 울산 19.5℃흐림
  • 광주 22.1℃흐림
  • 부산 21.7℃흐림
  • 고창 23.2℃구름많음
  • 제주 26.3℃맑음
  • 강화 15.4℃흐림
  • 보은 18.0℃흐림
  • 금산 19.7℃구름많음
  • 강진군 23.0℃흐림
  • 경주시 18.6℃흐림
  • 거제 21.8℃흐림
기상청 제공

2025.10.29 (수)

젠슨 황 "AI는 거품이 아니다…5천억달러 주문 확보로 증명"

GTC서 “AI 인프라 투자, 이제 가치 창출의 시대” 선언…AI 경제 현실화
노키아에 10억달러 투자·트럼프와 협력 강화…AI-6G 생태계 확장 가속화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최고경영자(CEO)가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을 일축하며, “AI는 이제 수익화가 가능한 산업이며, 그 투자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고 선언했다.

 

황 CEO는 10월2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GTC 개발자 회의(GPU Technology Conference) 기조연설에서 “AI 모델은 충분히 강력해졌고, 고객들은 그 가치를 인식해 비용을 지불할 준비가 돼 있다”며“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구축은 더 이상 실험이 아닌 필수적 투자”라고 강조했다.

 

■ “AI는 실험이 아닌 산업”…거품론 잠재운 ‘수익화 시대’ 선언

 

황 CEO의 발언은 최근 시장 일각에서 제기된 ‘AI 거품론(AI Bubble)’ 논란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그는 “AI는 세계 경제를 재편할 혁신의 동력”이라며, “AI 인프라 구축은 단순한 기술 투자가 아니라 경제 전환을 견인하는 자산 투자”라고 규정했다.

 

이는 엔비디아의 실적이 단순 GPU 판매를 넘어, AI 학습·추론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엔드투엔드(End-to-End) 인프라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엣지 컴퓨팅 등 전방위 시장에서 ‘AI 경제권(AI Economy)’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블랙웰·루빈 GPU, 5천억달러 주문 확보…“AI 컴퓨팅의 황금기”

 

황 CEO는 이날 “블랙웰(Blackwell)과 차세대 GPU 루빈(Rubin) 이 사상 최대 주문을 이끌고 있다”며 “향후 5개 분기에 걸쳐 약 5천억 달러(약 680조원) 규모의 예약 물량을 확보했다”고 공개했다. 엔비디아는 단순 반도체 제조사가 아닌, AI 인프라의 핵심 공급망 지배자(Supply Chain Dominator)로 부상했음을 입증한다. AI 훈련용 GPU뿐 아니라,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소프트웨어 최적화 솔루션까지 포괄한 “AI 풀스택(Full Stack) 생태계” 구축이 본격화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성과는 AI 기업들이 추론 중심의 효율적 연산을 추구하면서 고성능·저전력 GPU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결과다. 실제로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전장 대비 5.23% 상승한 201.51달러에 거래되며 투자자 신뢰 회복세를 입증했다.

 

■ 트럼프와 ‘에너지·AI 동맹’…노키아와 6G 협력으로 영역 확장

 

황 CEO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감사를 전하며 “미국 정부의 친에너지 성장 정책이 AI 산업 확장의 결정적 전환점을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 정책이 없었다면 엔비디아도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것”이라며 정책적 지원이 기술혁신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엔비디아는 노키아(Nokia)에 10억 달러를 투자, 2.9%의 지분을 보유한 주요 주주로 올라섰다. 황 CEO는 “노키아와 협력해 6세대 이동통신(6G)의 전력 효율을 혁신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수백만 개의 기지국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