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광물로, ‘화이트 골드(White Gold)’라 불릴 만큼 전략적 가치가 급상승했다. 특히 미국 IRA(인플레이션감축법), EU CRMA(핵심원자재법) 시행 이후 주요국이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에 나서면서, 리튬 확보 경쟁은 사실상 ‘新에너지 전쟁’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중국이 세계 리튬 제련의 6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일본·유럽 등 배터리 강국들은 ‘非중국 축’ 리튬 동맹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포스코의 이번 호주·아르헨티나 투자는 바로 이 ‘디커플링(탈중국화)’ 흐름에 맞춘 전략적 자원 포지셔닝이다. ■ 밸류체인 수직계열화 완성 이번 투자로 포스코는 광산→제련→소재→양극재→배터리 재활용으로 이어지는 ‘리튬 밸류체인 완성형 구조’를 구축했다. 호주는 고순도 광물형 리튬(정광)을, 아르헨티나는 염수형 리튬(브라인)을 공급하는 ‘양원체계(Double Source)’로 리스크를 분산하고 가격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미네랄 리소스와의 협력은 포스코가 확보한 광물형 리튬 27만 톤을 향후 수산화리튬 3만7,000톤(전기차 약 86만 대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의미한다.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은 5일(현지시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선정하는 CES 2026 혁신상 첨단 모빌리티 부문에서 배터리 수명 향상 기술인 ‘Better.Re(배터.리) 솔루션’이 혁신상(Honoree)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배터리 기업이 순수 소프트웨어 기술로 CES 혁신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최초다. 이 솔루션은 ▲LG에너지솔루션이 자체 개발한 배터리 수명예측 알고리즘 ▲약 12억km에 달하는 실제 주행 데이터 ▲충전 및 주차 등의 다양한 운전 운행 정보 등을 토대로 개발된 배터리 수명 향상 기술이다. 배터리의 퇴화를 늦추고, 이상 현상을 사전 예측해 배터리 수명을 최대 2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Better.Re (배터.리) 솔루션은 ‘고객 유도형’과 ‘제어형’ 방식으로 나뉜다. 우선 고객 유도형은 배터리 퇴화에 영향을 미치는 16가지 사용자 행동 인자를 바탕으로 맞춤형 수명 관리 가이드를 제공하고, 운전자의 습관 개선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최적화하여 퇴화를 늦추는 방식이다. 해당 기술을 활용한 ‘배터리 AI 퇴화 분석’ 결과는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서비스인 ‘비라이프케어(B-L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은 10월20일, 포스텍·성균관대 공동 연구팀이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PT, Allyl Trimethyl Phosphonium)’ 계열의 이온성 화합물을 적용한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용어 설명 ·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llyl Trimethyl Phosphonium, APT) = LG에너지솔루션, 포스텍, 성균관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 전해질 기술의 핵심 소재로, 포스포늄 계열의 이온성 화합물이다. APT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강하게 결합한 이온성 화합물로, 일반 전해질에서 단순한 첨가제 역할을 넘어서 전해질의 물리화학적 성능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다기능성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 물질은 전해질의 동결점을 낮추고 점도를 감소시켜, 극저온 환경에서도 배터리 내부에서 이온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영하 20도에서도 약 87%의 충·방전 용량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저온 성능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며, 전통적인 전해질보다 월등한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APT 계열 화합물은 배터리 계면 반응을 조절해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리튬이온전지의 ‘두 가지 숙제’였던 저온 성능 저하와 열폭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성균관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이번 기술은 극저온 환경에서도 87%의 용량을 유지하고, 열폭주를 90% 이상 억제하는 혁신적 성과로 평가된다. ■ APT 이온성 화합물 기반 전해질, 성능과 안전성 모두 잡다 LG에너지솔루션은 10월20일, 포스텍·성균관대 공동 연구팀이 ‘알릴 트리메틸 포스포늄(APT, Allyl Trimethyl Phosphonium)’ 계열의 이온성 화합물을 적용한 전해질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온성 화합물은 플러스(양이온)와 마이너스(음이온)가 강하게 결합한 형태로, 전류를 전달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그중 APT 계열 화합물은 단순 첨가제가 아닌, 전해질의 동결점을 낮추고 전극 계면 반응을 조절하는 다기능성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이 물질을 전해질 내에 도입함으로써 저온 환경에서의 이온 이동성 저하와 계면 불안정성을 동시에 개선했다. 실험 결과, 해당 기술이 적용된 리튬이온전지는 영하 20도에서도 100회 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