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률, 여전히 전체 인구의 절반 수준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2024년 기준 장애인의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여전히 전체 인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지표는 남성에 비해 더욱 열악해, 성별에 따른 '이중 격차' 문제도 심각하게 지적되고 있다. 심각한 장애인 고용지표: 전체 인구의 절반 수준에 머물러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표한 '2025 장애통계연보'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35.9%로, 전체 인구의 64.7%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고용률 역시 장애인은 34.5%에 그쳐 전체 인구 고용률(63.3%)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실업률에서도 장애인은 4.0%로 전체 인구(2.3%)보다 1.7%포인트 높았다. 이는 장애인이 노동시장에 참여하려는 의지는 있으나, 실제 취업까지 이어지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성별 격차 심화: 여성 장애인의 이중고 특히 성별에 따른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남성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4.6%, 고용률은 42.6%였으나, 여성 장애인은 각각 24.2%와 23.5%로 남성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실업률의 경우 남성은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