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지구단위계획 30년 만에 분할...미래 新도심으로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서울 최대 규모인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이 30년 만에 서울역, 용산역 일대 등 6개 구역으로 분할돼 사업이 추진된다. 용산전자상가는 신사업 혁신거점으로 조성되며, 높이 규제 완화로 한강대로변에 최고 120m 높이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11월12일 제18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결정(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역에서 한강대교까지 이어지는 한강대로 일대이자, 국가 상징 거점으로 구상 중인 용산 일대 지구단위계획 구역이 대상이다.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은 1995년 처음 구역이 지정된 이래 330만~350만㎡ 규모로 관리돼 온 서울시 시가지 가운데 최대 규모다. 이달 말 첫 삽을 뜨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비롯해 용산 일대에 개발 수요가 늘고 있음에도 지구단위계획구역 자체가 워낙 커서 정비계획에 장기간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개 구역으로 쪼개기로 한 것이다. 해당 구역은 서울역 일대(71만㎡), 남영역 일대(36만㎡), 삼각지역 일대(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 일대(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 6곳이다. 서울시는 구역별로 개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