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키워드] 정식 용어는 "납이 아니라 연(鉛)"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연(鉛, 납)은 일상적으로 ‘납’으로 불리지만, 산업계와 자원 분야에서는 국제 원소명칭에 따라 ‘연(Lead)’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연·구리 등 비철금속군에 속하는 기초소재로,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원료로 활용된다. 연의 가장 큰 수요처는 자동차용 납축전지다. 전 세계 연 소비의 80% 이상이 차량용 배터리와 산업용 저장장치에 사용된다.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보조전원과 산업용 전력저장 시스템에서 납축전지는 여전히 필수적이다. 금속 가공성이 뛰어난 점도 산업적 활용도를 높인다. 전기·전자 산업에서는 회로 연결을 위한 납땜(solder) 재료로 폭넓게 사용되며, 방사선 차폐 성능을 바탕으로 병원 CT·X-Ray실, 연구시설, 원전 설비 등에 반드시 필요한 소재로 꼽힌다. 습기·염분·화학물질에 강해 전력·통신케이블 피복재, 선박 및 해양 산업에서도 활용된다. 높은 밀도를 바탕으로 탄약·군수 분야에서도 주요 소재로 사용된다. 이 때문에 납은 단순 금속을 넘어 전력·운송·군수·에너지 인프라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전략광물로 평가된다. 납축전지 공급망, 의료·원전 안전, 군수 장비 등 국가 기반 산업에 사용되는 데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