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과 박유미 시민건강국장이 21일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3일 0시부터 내년 1월3일까지 5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하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상림 기자)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등 수도권 지자체들이 23일 0시부터 내년 1월3일까지 5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한다. 이는 거리두기 3단계 방역지침인 ‘10인 이상 집합금지’보다 높은 강도의 조치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과 이재명 경기도지사, 박남춘 인천시장은 21일 각 시청과 도청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전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26명으로 엿새만에 1000명 아래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는 검사 건수가 줄어든 휴일 영향에 받았다. 이날 사망자는 24명으로 집계됐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892명으로 서울 327명, 인천 85명, 경기 237명 등 수도권에서 649명이 확진됐다. 동창회, 동호회, 야유회, 송년회, 직장회식, 워크숍 둥과 계모임, 집들이, 돌잔치, 회갑‧칠순연과 같은 개인적인 친목 모임은 일체 금지된다. 결혼식과 장례식만 2.5단계 거리두기 기준인 50인 이하 허용을 유지한다. 서 권한대행은 &ld
올해 전동킥보드로 인한 사고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올해 전동킥보드로 인한 사고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20일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11월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안전사고는 총 1252건이었다. 이중 올해 1~11월에 접수된 안전사고는 57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급증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전체 안전사고의 34.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30대는 24.2%로 뒤를 이었다. 10대 비중도 12%에 달했다. 전체 사고의 64.2%는 운전 미숙이나 과속 등 운행 중에 발생했다. 이 중에는 가드레일에 부딪히거나 과속방지턱, 싱크홀 등에 걸려 넘어지는 사례도 있어 전용도로 확충이 시급하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전동킥보드 고장과 제품 불량으로 인한 사고는 31.4%였다. 배터리와 브레이크가 불량하거나 핸들, 지지대, 바퀴 등이 분리·파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사고로 인해 다치는 부위는 머리&mid
지난달 26일 오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위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한 구로보건소를 찾은 시민의 모습. (사진=김상림 기자)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029명이 확인됐다. 해외유입 사례는 24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만8570명이라고 밝혔다. 국내발생 환자는 서울 382명, 경기 264명, ·인천 46명 등 수도권에서만 692명(65.7%)이 보고됐다. 이외 지역에서는 충북 103명, 부산 39명, 경남 32명, 경북 29명, 강원 27명, 충남·제주 각각 24명, 대구 20명, 전북 13명, 광주 9명, 울산 7명, 대전·전남 각각 5명 등 확진 판정을 받았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352명으로 총 3만4334명(70.69%)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만357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275명이며, 사망자는 1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659명(치명률 1.36%)이다. 한편, 정세균 국무총리는 19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번 주말이 거리두기 단계 조정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며 “힘겨웠던 한 주가 지나고 주말을 맞이하지만
화물운송기사 故 심장선 씨 유족이 18일 오전 10시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발전소에서 진행된 고인의 영결식에서 참석하고 있다. (사진=공공운수노조) 故 심장선 씨 유족이 18일 오전 10시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발전소에서 진행된 고인의 영결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공운수노조)18일 오전 10시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발전소에서 화물운송기사 故 심장선 씨의 영결식이 진행됐다. 심 씨의 장례는 ‘공공운수노조장’으로 치러졌다. 심 씨는 지난달 28일 오후 1시쯤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 영흥화력발전소에서 석탄회(석탄재)를 차에 싣는 작업을 하던 중 4m 아래로 추락해 사망했다. 고인은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의 협력업체의 협력업체 소속이다. 15일 유족과 공공운수노조는 한국남동발전과 4차례 교섭한 끝에 지난 15일 최종 합의서를 작성했다. 사측은 ‘화물노동자에게 상‧하차 업무 전가 금지’, ‘안전인력 충원’, ‘안전설비 보강 및 설치’, ‘특급마스크 등 안전장비 비치’ 등을 약속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18일 서울시청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무총리실)정세균 국무총리가 거리두기 격상 여부에 대해 "치밀하게 준비하되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과감하게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18일 서울시청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한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가 900명을 넘어서 3단계 격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뜨겁다"며 "상황에 따라선 3단계 격상도 신속하게 결단해야 하기 때문에 관계부처와 지자체,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선은 현재 단계를 제대로 이행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판단에서 모든 행정력을 투입해 사회적 실천력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말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62명으로 총 4만 7515명으로 늘었다. 16일 1078명, 17일 1014명에 이어 사흘째 1000명을 넘었다. 12일부터 1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하루 평균 961.7명, 국내발생 확진자는 934.4명을 기록했다. 정 총리는 "3단계로 상향되면 200만개에 달하는 영업장과 시설이 문을 닫거나 운영에 제한을 받는다"며 "
김재하 민주노총 비상대책위원장, 김호규 금속노조 위원장 등 민주노총 관계자들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영흥화력·포스코 중대재해 문제 해결 및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김은미 기자)영흥도 영흥화력발전소(한국남동발전)에서 석탄회(석탄재)를 차에 싣는 작업을 하던 중 4m 아래로 추락해 사망한 화물기사 심장선 씨 사고에 대해 공공운수노조가 사측과 재발방지대책 등 합의안을 마련했다. 공공운수노조는 한국남동발전과 15일 고 심장선 화물노동자 산재 사망사고에 대한 합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공공운수노조는 한국남동발전과 10일부터 총 4차례 교섭했으며, 15일 최종 합의를 통해 ‘유족 합의서’, ‘재발방지대책 합의서’, ‘부속 합의서’ 등 세 가지 합의서를 작성했다. 사측은 ‘화물노동자에게 상‧하차 업무 전가 금지’, ‘안전인력 충원’, ‘안전설비 보강 및 설치’, ‘특급마스크 등 안전장비 비치’ 등을 약속했다. 공공운수노조 조합원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남동발전 영흥화력발전소 고 심장선 화물노동자 사망사고 진상 규명 및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는 노동안전보건단체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김상림 기자) 노동안전보건단체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남동발전 영흥화력발전소 고 심장선 화물노동자 사망사고 진상 규명 및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9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무총리실)정세균 국무총리가 “이번 유행의 기세를 꺾을 승부처가 수도권이라고 생각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9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수도권의 코로나19 확산세가 매우 심각하다”며, “현재 수도권에서 즉시 사용 가능한 중환자 병실이 20개 이내에 불과하다. 선제조사와 역학조사, 병상확보 등 필요한 방역 대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9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686명 발생했다. 서울 264명, 인천 26명, 경기 214명 등 수도권에서 국내 발생 확진자 504명이 확진됐다. 정 총리는 “얼마 전 국회를 통과한 3조원 이상의 코로나19 맞춤형 지원 예산은 어려움에 처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와드리기 위한 것이다”며, “각 부처는 연말까지 예산 집행계획을 미리 세워 놓고, 내년 초에 바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관세청은 2억원 이상, 1년 이상 관세 등을 체납한 고액․상습 체납자 251명(개인 173명, 법인 78개 업체)의 명단을 7일 관세청 누리집과 세관 게시판에 공개했다. (자료=관세청)체납자 A씨는 미국산 오렌지를 저가 신고하는 방법으로 관세를 포탈한 사실이 적발돼 관세청이 약 3억5000만원을 추징했다. A씨는 친인척 명의 호화주택에서 거주하며 고가의 수입 외제차를 가족 공동소유로 명의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세청은 거주지 등에 대한 지속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수입 외제차에 대한 실제 소유사실을 확인받아 현장점유 조치했다. 이어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약 8000만원 상당의 압류 자동차를 공매 의뢰했다. 관세청은 이 같이 2억원 이상, 1년 이상 관세 등을 체납한 고액·상습 체납자 251명(개인 173명, 법인 78개 업체)의 명단을 7일 관세청 누리집과 세관 게시판에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 체납자의 전체 체납액은 9196억원으로 개인 최고액은 4505억원, 법인 최고액은 198억원, 1인(개인 및 법인) 평균 체납액은 37억원이다. 관세청은 명단공개 외에도 ‘체납자 은닉재산 125추적팀’을 운영해 재산
고(故) 심장선 씨의 아들 등 유족들과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2일 경기도 시흥시 센트럴병원 고인의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묵념하고 있다. (사진=김민석 기자)영흥화력발전소에서 추락 사고로 사망한 고(故) 심장선 씨의 유가족이 협력업체에 책임을 떠넘기는 사측을 규탄하며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심 씨 아들 등 유족들과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2일 경기도 시흥시 센트럴병원 고인의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화물운송기사인 심 씨는 지난달 28일 오후 1시쯤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 영흥화력발전소에서 석탄회(석탄재)를 차에 싣는 작업을 하던 중 4m 아래로 추락해 사망했다. 고인은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의 협력업체의 협력업체 소속의 화물노동자였다. 심씨의 아들은 “사고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에 대한 확실한 답을 원했는데 (사측은) 경찰 수사와 현장 감식 전에는 확답을 못 준다는 말을 했다”며, “사고의 책임이 발전소에 있는데 하청업체에 떠넘기고 있다”면서 “아버지는 운전하는 사람인데, 돌아가실 때 하시던 작업이 운전이라고 생각이 되지 않는다”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