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금융위기 수준의 연체율 상승 속에 부실채권(NPL) 매각 규모는 연말까지 1조7천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 부진, 미중 무역불확실성 등 복합 악재가 중소기업의 상환 능력을 압박하면서다. ■ 연체율 1.00%, 15년 만의 최고치 11월10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올해 3분기까지 약 1조1천억 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했으며, 4분기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천500억 원, 경쟁입찰을 통해 최대 4천억 원어치를 추가로 매각할 예정이다. 연간 총액은 1조7천5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은행의 대출 연체율은 1.00%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1.02%) 이후 최고치다. 특히 기업대출만 보면 1.03%로 2010년 이후 15년 만의 기록이다. 이는 2분기(0.91%) 대비 0.09%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0.53%)보다 두 배에 달한다. ■ 고금리·산업 부진 ‘이중 압박’ 기업은행의 연체율 급등은 경기 둔화의 직격탄이다. 기업은행은 전체 대출의 90%가 중소기업 대상이라, 금리 상승과 제조업 위축의 영향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IBK기업은행이 출산·육아 단계별 맞춤형 금융 플랫폼 ‘아이 봄’을 공식 출시하며 ‘생활밀착형 금융’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은행권 최초로 임신·출산·육아 전 주기 금융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단순 금융을 넘어 생활·건강·복지 서비스를 포괄하는 토탈 케어 시스템을 구축했다. ‘아이 봄’은 자녀의 성장 주기에 맞춰 금융·생활·건강 정보를 한 번에 제공하는 서비스다. 출산을 앞두거나 미성년 자녀를 둔 부모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행정안전부(행안부)와 협업해 정부의 출산·육아 혜택과 산모 맞춤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특히 예정된 일정이나 혜택을 자동 알림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탑재해 “출산 전후 지원금·검진 일정·육아 보조금” 등 행정 절차를 놓치지 않도록 설계됐다. 기업은행은 이를 통해 “단순 금융을 넘어 고객의 생활 흐름과 맞닿은 ‘라이프 동반 금융(Life Companion Banking)’ 모델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아이 봄’은 크게 세 가지 라운지로 구성돼 있다. △금융라운지: 자녀 명의의 적금·보험·증여계좌 관리 등 자산 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금융교육 콘텐츠와 미래 교육비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