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1470원대 붕괴…1500원 경고음 커졌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다시 한 번 급격히 떨어지며 1470원대까지 밀렸다. 12·3 계엄 사태 당시 기록했던 1480원대 최저점에 근접한 가운데, 엔저(円低)와 서학개미의 대규모 해외투자, 미·한 관세 불확실성이 결합된 ‘트리플 충격’이 원화를 압박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시장에서는 “심리적 저항선인 1480원이 무너질 경우 1500원선도 열릴 수 있다”며 경고음을 내고 있다. 11월13일 서울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467.7원으로 마감했다. 장중 한때 1475.3원까지 치솟으며 이틀째 1470선을 뚫었다. 이는 지난해 4월(1487.6원) 이후 7개월 만의 최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원화 약세가 ‘뉴노멀’을 넘어 구조적 레벨 시프트를 맞이했다”고 진단한다. ■ 관세 협상 불확실성…‘환율의 최대 변수’로 부상 원화 약세의 중심에는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이 자리한다.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원산지 규제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 부담이 크게 늘 것이란 전망이 환율에 즉각 반영됐다. 오건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단장은 “팩트시트가 공개되더라도 세부 투자 방식에 대한 한·미 이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