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테슬라(NAS:TSLA)가 10월22일(미국 현지시간)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그러나 이번 발표의 초점은 숫자가 아니라 ‘AI(인공지능)와 로보틱스 전략’에 쏠리고 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일제히 “테슬라의 핵심은 실적이 아닌 미래 기술 구도”라며 AI·로보택시·옵티머스 로봇 등 신성장 축에 주목했다. 웨드부시(Wedbush Securities)의 댄 아이브스(Dan Ives) 애널리스트는 이번 실적을 “AI 서사의 새로운 서막”으로 규정했다. 웨드부시는 뉴욕에 본사를 둔 미국 대표 기술·성장주 전문 투자은행으로, 테슬라·애플·엔비디아 등 빅테크 분석에 강점을 지닌 기관이다. 아이브스는 투자자 노트에서 “테슬라의 단기 실적과 가이던스보다 AI 이니셔티브(AI Initiative)가 훨씬 중요하다”며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한 로보틱스 진화가 테슬라의 1조 달러 성장 스토리를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테슬라 목표주가를 600달러로 상향하며, 이는 전일 종가(442.60달러) 대비 약 38%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아이브스는 “자율주행이 현실화되면 테슬라의 수익 구조는 자동차 제조에서 AI 서비스 플랫폼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한국투자증권이 개인 투자자의 투자 역량 향상과 건전한 투자 문화 조성을 위해 주식 투자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교육은 11월 한 달 동안 서울 가락동 교육센터에서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주식 거래 초보자도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과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사용법을 중심으로 구성된 입문 과정이다. 주요 강의 내용은 △MTS 매매 설정 및 특화 주문 방법 △HTS를 활용한 셀프 매매 전략 △모바일 해외주식 주문 방법 등 실전 투자에 바로 활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보이스피싱 예방 등 금융 보안 교육도 포함돼, 투자자 보호 측면도 강화했다. 교육은 한국투자증권 고객이면 누구나 무료로 신청할 수 있으며, 강의별 참석 인원은 선착순 34명으로 제한된다.
 
								경제타임스 여원동 기자 | 한국거래소가 오는 10월 27일부터 채권·외환·원자재(FICC) 파생상품시장의 개장 시간을 기존 오전 9시에서 오전 8시 45분으로 15분 앞당긴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현물시장 가격발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거래소는 이미 지난해 11월 주식파생상품시장의 개장 시간을 조정한 바 있다. 당시 조기 개장은 시장 참여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이번 FICC 시장의 개장 시간 조정도 같은 맥락에서 추진됐다. 개장 시간이 앞당겨지는 상품은 국채선물(3년·5년·10년·30년), 통화선물(달러·엔·유로·위안), 3개월 무위험지표금리(RFR) 선물, 금 선물 등이다. 거래소는 이들 상품의 가격이 현물시장 개장 전에 발생한 국내외 이벤트를 먼저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가격 정보를 바탕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예측이 반영된 파생상품 가격을 지표로 삼아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번 개장 시간 조정의 핵심”이라며, “현물시장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시장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거래소는 코스닥150 지수를 기초로 한 위클리옵션 상장도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글로벌 귀금속 시장이 폭락한 가운데, 비트코인이 ‘대체 투자처’로서 존재감을 다시 드러내고 있다. 10월21일(미국 현지시각)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장중 10만8,000달러 밑으로 하락했다가 11만2,700달러까지 반등했다. 이더리움도 전날 낙폭을 만회하며 4,000달러선을 다시 돌파했다. 같은 날 뉴욕 상품시장에서는 금값이 5% 급락해 온스당 4,130달러선, 은은 8% 가까이 폭락하며 수년 만에 최대 일일 하락폭을 기록했다. 최근 몇 달간 금과 은 가격은 △중앙은행의 통화완화 전환 △미중 무역 긴장 고조 △글로벌 유동성 불안 등으로 급등세를 보여왔지만, 이제는 조정 국면으로 진입하면서 일부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퀸 톰슨 레커 캐피탈(Lekker Capital) 설립자는 “비트코인은 이제 금의 랠리를 따라잡을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했으며, 찰리 모리스 바이트트리(ByteTree) 최고투자책임자(CIO) 역시 “금 시장이 조정기에 접어들면 비트코인 랠리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서의 역할을 회복하고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금·은의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삼성증권은 30억원 이상 고객이 5000명을 넘어섰다고 22일 밝혔다. 삼성증권은 2025년 9월 말 기준 자산 30억 원 이상 고객 수가 5,449명을 기록하며, 2020년 말 대비 91%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초고액자산가 고객층의 빠른 성장과 함께 자산 운용 방식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령대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30대가 194%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184%), 20대(178%), 50대(147%), 60대(93%), 70대 이상(3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층에서도 초고액자산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초부유층 고객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현금 비중은 2020년 말 23.0%에서 2025년 9월 말 11.5%로 11.5%p 감소하며, 투자 자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리밸런싱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해외자산 비중은 12.6%에서 23.2%로 10.6%p 증가하며 글로벌 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 증시 부양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따라 국내 주식 투자 비중도 올해 들어 5.1%p 확대되는 등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모
 
								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반도체 소재 전문 기업 와이씨켐(073010)은 10월 21일, SK엔펄스의 CMP 슬러리(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lurry) 사업부문을 총 110억 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는 CMP 슬러리 기술력과 영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판단으로, 해당 사업부의 자산과 부채를 포함한 일체의 재산이 양수 대상에 포함된다. 양수 대상 사업부의 자산은 162억 원, 매출은 약 27.7억 원으로, 이는 와이씨켐 전체 자산의 13.93%, 전체 매출의 3.94%에 해당한다. 인수 대금은 계약금 10억 원, 거래종결 후 8영업일 이내 50억 원, 그리고 2027년 4월과 2028년 10월에 각각 25억 원씩 분할 지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평가기관인 안세회계법인은 현금흐름할인법(DCF)을 적용해 해당 사업부의 가치를 100억5100만 원에서 143억6300만 원으로 평가했으며, 인수 금액 110억 원은 적정 범위 내로 판단되었다. 와이씨켐은 인수한 CMP 슬러리 사업부를 별도의 법인 설립 없이 기존 사업부에 통합해 운영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팰리서캐피탈(Palliser Capital)’은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글로벌 행동주의 헤지펀드로, 기업의 저평가 해소와 지배구조 개선을 목표로 하는 가치투자형 행동주의 전략을 추구한다. 이 펀드는 미국 행동주의 투자자 엘리엇 매니지먼트(Elliott Management) 출신 인사들이 2021년 설립한 곳으로, 엘리엇 특유의 정교한 재무 분석과 이사회 개입 전략을 결합한 ‘엘리엇 DNA’의 후예로 평가받는다. 팰리서캐피탈은 설립 이후 유럽과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기업가치 제고 캠페인을 적극 전개해 왔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영국 광산 대기업 리오틴토(Rio Tinto)를 상대로 런던 이중상장 구조 폐지를 요구하며 “복잡한 상장 구조가 주가 할인(디스카운트)의 원인”이라고 공개 압박한 바 있다. 또한 영국 유통기업 WH Smith의 약 5% 지분을 확보한 뒤, 자본배분 효율화·부채 축소·주주환원 강화를 요구하며 주가 반등을 이끌었다. 이 밖에도 일본 토요타이어(Toyo Tire)와 일부 유럽 상장사를 상대로 잉여자본 환원·지배구조 개편을 요구하는 등 글로벌 다국적 기업을 상대로 한 ‘가치 정상화 캠페인’을 지속 중이다. 팰리서캐피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LG화학이 해외 행동주의 펀드의 주주가치 제고 제안에 급등세를 나타냈다. 10월2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LG화학은 전 거래일 대비 9.68%(3만3,500원) 오른 37만9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한 달 만의 최고치이자, 최근 들어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이번 주가 급등은 엘리엇 매니지먼트 출신이 설립한 행동주의 펀드 ‘팰리서캐피탈(Palliser Capital)’이 LG화학에 공개적으로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촉발됐다. 팰리서캐피탈은 “LG화학 주식은 순자산가치(NAV) 대비 74% 할인된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이는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지분 가치가 주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펀드는 구체적으로 △기업 경영 전문성을 갖춘 독립이사 선임을 통한 이사회 개편, △주가와 연동된 경영진 보상체계 도입, △보유 중인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활용한 자사주 매입, △장기 주가 저평가 관리 프로그램 시행 등을 제안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 지분을 현물로 활용해 자사주를 매입하는 방안은 지주회사의 ‘이중할인(더블카운팅)’ 문제를 완화할 대안으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애경산업(018250)은 21일,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이케이홀딩스와 애경자산관리는 보유 중인 1667만2578주를 티투프라이빗에쿼티, 유안타인베스트먼트, 태광산업에 양도한다. 양도 금액은 총 4699억9997만3820원이며, 주당 2만8190원으로 책정됐다. 계약금 235억 원은 계약 체결일인 10월 21일에 지급되며, 잔금 4464억9997만3820원은 2026년 2월 19일 양도일에 지급될 예정이다. 양도 완료 후, 티투프라이빗에쿼티 등 3인의 지분율은 63.13% 로 상승하며, 기존 최대주주였던 에이케이홀딩스 등 2인의 지분율은 0% 로 변경된다.
 
								경제타임스 김재억 기자 | 휴맥스(115160)는 21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 위너콤의 제4회차 사모사채 발행에 대한 70억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보증 기간은 2025년 10월 30일부터 2027년 10월 30일까지로 설정됐다. 이번 채무보증의 채권자는 신보 2025 제24차 유동화전문 유한회사이며, 휴맥스의 자기자본(1152억9718만655원) 대비 채무보증금액 비율은 6.07% 에 해당한다. 휴맥스는 2025년 10월 21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해당 보증을 승인했으며, 이사회에는 사외이사 1명이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휴맥스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411억2000만 원에 이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