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09.16 (화)

경제전문가 74% “미·중 무역분쟁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가장 큰 리스크 요인”

경제전문가 74% 가량이 미·중 무역분쟁이 우리 금융의 최대 리스크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경제전문가 92명 중 74% 가량이 미·중 무역분쟁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다음으로 52%는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이 또 다른 리스크라고 생각했다.

 

뒤를 이어 글로벌 경기 둔화(40%)와 가계부채 문제(40%), 중국 금융·경제 불안(39%) 등의 순으로 리스크 요인이 집계됐다.

 

주요 리스크 요인별 발생 가능성 및 영향력을 살펴보면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 글로벌 경기 둔화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걸쳐서, 그리고 가계부채 문제,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중기(1~3년)에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했다.

 

이들 위험인자가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미·중 무역분쟁,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은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로 부각됐다.

 

가계부채 문제, 중국 금융·경제 불안, 글로벌 경기 둔화는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지난 5월 조사결과와 비교해보면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응답비중은 67%에서 74%로 상승한 반면 국내 경기 둔화 지속은 66%에서 52%로 하락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

 

이번 서베이는 한은이 지난달 13일부터 29일까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 및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해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업권별 협회 및 금융·경제 연구소 직원, 대학 교수 및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총 92명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