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고령자 전용 공공임대주택 8만호 공급, 어르신 맞춤 주택 리모델링·집수리 지원 등 고령자 주거복지 정책 도약을 위한 추진 계획을 밝혔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어르신이 주거와 돌봄 지원을 한 번에 받을 수 있게 되는 등 고령자 맞춤형 주거지원이 강화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3월 20일 발표한 주거복지로드맵 2.0에 따라, 고령자 전용 공공임대주택 8만호 공급, 어르신 맞춤 주택 리모델링·집수리 지원 등 고령자 주거복지 정책 도약을 위한 추진 계획을 밝혔다. 23년부터는 기존 고령자 복지주택 공급량의 2배 규모인 연 2천호까지 물량을 확대해, 25년까지 총 1만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65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들을 위해 안전 손잡이, 높이조절 세면대 등의 무장애특화시설을 갖춘 주택이다. 올해 입주자를 모집하는 고령자 복지주택은 광양칠성 등 총 6곳 682호이다. 아울러 고령자 복지주택 외에도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주택과 매입·전세임대주택을 활용한 고령자 주택도 25년까지 7만호 공급 될 전망이다. 이 중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문턱제거
국토교통부가 20일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제5회 주거복지협의체를 개최하고 ‘주거복지 지난 2년의 성과와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국토교통부는 20일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제5회 주거복지협의체를 개최하고 ‘주거복지'의 지난 2년의 성과와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18~19년간 총 200만 가구 이상이 취업·결혼·출산·노후 등 생애단계에 따라 저렴한 임대료의 공공임대주택, 전월세 대출 등 금융, 주거급여 등 맞춤 프로그램을 새로 이용하게 됐다. 로드맵상 공공주택 105.2만호 공급계획은 당초 목표를 상회해 19년말 기준 42.9만호 공급을 완료했고 이에 따라 주거안전망 수준의 상징적 지표인 장기 공공임대 재고율이 올해 안으로 OECD 평균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주거급여는 4대급여 최초로 부양의무 기준을 폐지하고 지원대상을 확대해 ’19년 현재 104만 가구를 지원중이고 지원금액도 높아졌다. 버팀목, 디딤돌 등 무주택 서민을 위한 전월세·구입자금 금융 상품은 총 54.3만 가구에 45.6조원 수준 지원했다. 국토교통부는 선진국 수준의 주거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