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무역정책을 조언하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WTO에 비판적인 성명을 내고 “이 기구는 현장에서 실질적인 실무경험을 가진 사람이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그래픽 : 경제타임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한국인 최초로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배출에 온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강력한 경쟁자인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재무장관 출신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Ngozi Okonjo-Iweala)에 대해 미국 미국이 반대하고 나서 앞으로 사태 진전이 주목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이 지지하겠다는 나이지리아 출신 후보가 앞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유명희 후보가 탈락하는 것 아니냐며 어둡게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한국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나서 끝까지 희망을 포기해서는 안 되겠다는 상황이 되고 있다. 28일 세계무역기구 후보추천위원회는 WTO의 164개 회원국에 응고지 오콘조 이웨알라를 임명할 것으로 권고했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29일 보도했다. 만일 그녀가 수장이 된다면, WTO를 이끄는 최초의 여성이자 최초의 아프리카인이 될 것이다. 그러나 WTO
코퍼스코리아 로고 한류콘텐츠 해외배급 전문기업 코퍼스코리아가 12월 코스닥에 상장한다. 공모 청약 없이 스팩 합병 방식을 이용한다. 23일 코퍼스코리아는 DB금융스팩7호와 합병을 거쳐 12월 28일 코스닥에 상장한다. 코퍼스코리아는 2005년에 설립된 한류콘텐츠 전문 배급사다. 국내에서 제작된 한류콘텐츠를 일본 및 해외 시장에 배급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푸른바다의 전설, 도깨비, 백일의낭군님, 대군, 슬기로운 감빵생활과 같은 드라마는 물론 아육대, 삼시세끼, 윤식당, 무한도전, 신서유기 등 예능 콘텐츠까지 다양한 한류콘텐츠를 해외 OTT 플랫폼에 배급했다.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일본 OTT 플랫폼인 dTV, hulu, U-NEXT 등에 콘텐츠를 공급했다. 최근 코로나19의 영향과 더불어 글로벌 기업들의 OTT 진출로 국내외 OTT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랑의 불시착, 이태원 클라쓰, 기생충 등 콘텐츠와 BTS 등 K-pop이 일본, 동남아, 중국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코퍼스코리아는 이에 발맞춰 최근 tvN에서 방영된 구미호뎐 등 인기 작품을 확보했다. 코퍼스코리아 오영섭 대표는 “K-웹툰과 K-웹소설 등의 K-콘
이IMF는 “상처가 깊어질 것”이라며 2020년대 중반쯤이면 투자액이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사진 : 미국CNBC 동영상 캡처)아시아 태평양이 살아 있는 기억력 측면에서 볼 때, 최악의 침체(worst recession)에서 회복할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이 밝혔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2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지역의 성장률 전망치가 올해 -1.6%에서 -2.2%로 다시 하향 조정됐다. 그러나 IMF는 희망의 빛은 2021년에 거의 7%의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침체에서 회복이 지속되고 있는 최근의 데이터를 통해 내년 이 지역의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인도, 필리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 국가들이 코로나19와 계속해 싸우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먹구름이 지평선 위에 존재하고 있다. IMF는 “상처가 깊어질 것”이라며 2020년대 중반쯤이면 투자액이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지역은 또한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긴장이 경제 회복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역내 경제는 대유행(Pandemic, 팬데믹)의 여파가 있을 뿐만 아니라 미-중 무
FRB는 지난 9 월 보고서에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승하지만, 그 속도는 대체로 완만하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전보다는 훨씬 밑돌았다”고했다. (사진 : 유튜브 캡처)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전국 12개 지역의 연방준비은행의 경제 상황보고(베이지 북, Beige Book)을 발표하고, 미국의 경제 활동은 “모든 지역에서 상승하고 있지만, 회복 속도는 대부분 로 완만하다”고 분석했다고 텔러리포트가 이날 보도했다. 텔러리포드 보도에 따르면, 하지만 업종에 따라 차이가 크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야외 좌석을 중심으로 영업 해 온 외식산업에서 기온저하로 인한 매출 감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FRB는 지난 9 월 보고서에서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승하지만, 그 속도는 대체로 완만하고,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전보다는 훨씬 밑돌았다”고했다. 한편, 보고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융정책을 결정할 때의 토의 자료가 된다.
사진=센코 가스 센서 전문 업체 센코가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을 실시한 결과 최종 경쟁률이 366.42대 1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센코는 지난 20일과 21일 양일간 진행한 일반 투자자 공모청약에서 배정물량인 322,400주에 대해 118,133,850주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청약증거금으로는 7,679억원이 몰렸다. 센코는 앞서 진행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848.3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모가를 희망 밴드 최상단인 1만3000원에 확정한 바 있다. 이번 공모결과와 관련하여 센코 하승철 대표이사는 ”이번 기업공개 절차 과정에서 센코의 높은 기술력과 성장성에 신뢰와 관심을 보내주신 투자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며, “이번 공모를 통해 조달되는 공모자금으로 생산 공장 건설 및 대량생산을 위한 자동화 설비 투자 등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기업가치 상승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04년 설립된 센코는 국내 최초로 전기화학식 가스 센서 기술 개발에 성공한 가스 센서 전문기업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글로벌 방폭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시장진출 기반을 갖췄다. 가스 안전사고·산
사진=위드텍분자오염 모니터링 전문기업 위드텍이 공모 청약에서 흥행을 거뒀다.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공모청약을 진행해 1185.5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번 일반 공모청약은 전체 공모 물량의 20%에 해당하는 212,000주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총 251,329,100주가 청약 접수됐다. 증거금은 약 3조 1,416억원을 기록했다. 하나금융투자가 위드텍의 상장 주간을 맡았다. 위드텍의총 공모주식수는 1,060,000주, 공모가는 25,000원이다. 상장 과정에서 약 265억원을 조달하게 됐다. 공모자금은 반도체 기술의 고도화와 정부 환경 규제 강화 전망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기술 연구에 투자할 계획이다. 코스닥 상장 예정일은 오는 30일이다. 유승교 위드텍 대표는 “이번 일반 투자자 공모청약의 결과를 통해 위드텍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상장 후에도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활동으로 코스닥 상장사로서의 의무를 다하고,분자오염 모니터링 분야를 바이오,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위드텍은 분자오염 모니터링 기술을 국산화해 고객사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장비
컨테이너선 이용료가 크게 오르고 있다. (사진=HMM)수출업계에 가을 바람이 불고 있다. 현대차,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표적인 수출 기업들이 코로나 악재를 이겨내고 있다. 주식 시장에서도 이 같은 기대감이 수혜주 찾기로 이어지고 있다. 무역 업종과 해운 업종 주가가 상승세다. 관세청은 21일 이달 20일 기준 통관 기준 잠정 수출액은 252억 달러라고 밝혔다. 조업일수 차이를 반영한 1일 평균 수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9% 늘어난 숫자다. 반도체(12.1%), 정밀기기(1.9%), 컴퓨터 주변기기(10.5%)가 수출이 늘었다. 중국(-4.6%), 미국(-2.3%), 일본(-17.0%)을 향한 수출은 줄었다. 다만 베트남(0.7%), 유럽연합(13.8%), 캐나다(38.8%)를 향한 수출이 늘었다. 지난달부터 수출은 회복세로 돌아섰다. 수출이 갑자기 늘면서 물건을 실을 배를 구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겼다. HMM은 국내 수출 기업들이 배를 구할 수 없다고 호소해 코로나 사태 이후 운영을 일부 중단했던 선박을 북미 노선에 긴급 투입하기도 했다. 글로벌 해운 업체들이 코로나19가 터진 이후 선박 운용을 줄였다. HMM 주가 (자료=네이버 금융) 그러면서 선박
이달 초 세계무역기구(WTO)는 6월보다 개선된 상품 교역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 2020년에는 9.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2021년에는 제2의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추가적인 폐쇄(LOCKDOWN)로 인해 더욱 조용한 반등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 사진 : 유엔 뉴스 news.un.org 일부 캡처)올 3분기 중국 주도의 취약한 반등 조짐에도 불구하고, 2020년 세계 무역은 전년보다 7~9%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유엔뉴스(NEWS.UN.ORG)가 21일 보도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경제가 혼란에 빠지면서 2분기 세계 무역에서 전년대비 19%의 하락을 면한 지역은 없었다고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밝혔다. 세계무역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약 4.5% 감소했고, 3분기에 다소 회복되었다고 최근 보고서는 말했다. UNCTAD는 “홈 오피스 장비와 의료용품의 교역은 ‘3/4분기’ 증가했지만, 자동차와 에너지 부문은 더욱 약화되었다”고 말하고, “섬유 부문의 성장세도 강했다”고 밝혔다. 4분기 잠정 전망치는 전 세계 교역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 정도 감
미국의 대중국 제재 품목 전체 수입 중 중국산 비중이 2018년 상반기 17.25%에서 올해 상반기 13.21%로 4.04%p 하락했다. (경제타임스 자료사진)2018년 7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제재를 가한 이후 미국 수입시장을 둘러싸고 아시아 국가들의 점유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2일 발표한 ‘미국의 대중국 무역제재(관세부과) 이후 미국 내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제재 품목 전체 수입 중 중국산 비중이 2018년 상반기 17.25%에서 올해 상반기 13.21%로 4.04%p 하락했다. 같은 기간 베트남(+1.30%p)과 대만(+1.04%p), 한국(+0.87%p), 싱가포르(+0.54%p), 태국(0.52%p) 등 아시아 국가들의 점유율이 상승해 중국과 대조를 보였고 특히 아세안 10개국의 점유율은 7.65%에서 10.74%로 3.09%p나 늘어나는 등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우리나라는 특히 중간재 수출을 중심으로 제재의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제재 품목 수입시장 중 중간재 부문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8년 상반기 4.13%
미국 아마존 물류센터 (사진=코트라 제공) 국내 투자자가 미국 아마존 물류센터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1일 미국 중부 및 남부 소재 아마존 물류센터 세 곳에 투자하는 ‘미래에셋맵스미국부동산공모펀드16호’를 모집한다. 펀드 모집규모는 965억원 한도로 10월 28일까지 미래에셋대우 영업점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도 26~27일 판매한다. 만기는 설정일로부터 5년 6개월이다. 중도환매가 불가한 폐쇄형 구조다. 투자자에게 환금성 및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에 설정 이후 90일 이내 상장되게 된다. 투자대상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이 임대면적 전체를 사용하는 미국 인디애나, 오하이오, 노스캐롤라이나에 위치한 물류센터 세 곳이다. 부지 선택부터 설계까지 아마존이 관여했으며 글로벌 물류시설 개발업체인 스캐넬이 개발, 모두 올해 준공됐다. 물류업체가 상품을 최종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배송 마지막 구간인 라스트 마일(Last-mile) 물류시설로 배송시간 단축을 위한 아마존 물류 시스템의 핵심으로 꼽힌다. IT 기술 발전과 소비행태의 변화, 코로나19로 확산되는 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