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식고 화성 뜨고"…규제 피한 수도권 역주행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수도권 비규제지역에선 오히려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갭투자(전세 끼고 투자)가 가능하고, 대출 규제 및 세제 부담이 덜한 지역으로 부동산 매매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로 풀이된다. 반면 토지거래허가 규제지역에서는 거래가 4분의 1 토막으로 줄어들었다. 11월11일 국토교통부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10·15 부동산대책 이후 20일간(10월16일~11월4일)의 수도권 아파트 매매량은 8,716건으로 대책 전 20일간(9월25일~10월14일)의 1만5,412건보다 43% 가까이 줄었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토지거래허가 규제지역에서는 같은 기간 매매 건수는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76% 감소했다. 감소폭이 큰 지역은 서울 영등포구(-95%), 성남시 수정구(-93%), 서울 성동구(-91%), 경기 분당구(-89%), 성남시 중원구(-86%) 등이다. 대출규제 강화 등으로 실수요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규제지역이던 서울 강남권에서는 거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특히 서초구는 대책 전보다 거래량이 소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