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4~6월기의 법인기업 통계 등을 반영해, 8월 공표의 속보치를 재검토했다. 설비 투자는 속보치의 전기대비 -1.5%로부터 -4.7%로 하향수정 했다. 주택 투자도 -0.2%에서 -0.5%로 하락했다.(사진 : 미 블룸버그 통신 유튜브 캡처) 일본 내각부가 8일 발표한 2020년 2분기(4~6월기)의 국내 총생산(GDP, 계절 조정치) 개정치는 물가변동을 제외한 실질로 전기대비 -7.9%감소, 이 페이스가 1년간 지속 된다고 가정한 연율 환산으로 -28.1%라는 전후 최악의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도쿄신문이 8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영향으로 전후 최악의 마이너스 성장이었던 속보치(연 -27.8%감)로부터, 악화 폭이 한층 더 확대했다.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4~6월기의 법인기업 통계 등을 반영해, 8월 공표의 속보치를 재검토했다. 설비 투자는 속보치의 전기대비 -1.5%로부터 -4.7%로 하향수정 했다. 주택 투자도 -0.2%에서 -0.5%로 하락했다. GDP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개인소비는 -7.9%였고, 오락에의 지출이 상향수정 되어 속보치와 비교해서 마이너스 폭은 약간 축소했지만, 정부의 긴급사태 선언에 의한 외출 자
GDP는 제조업이 -39.3%로 크게 추락했다. 전 분기는 -1.4%로 이미 경기 후퇴기에 들어갔음을 보여주었다.(사진 : BBC방송 캡처, 한글 추가) 인도 통계-계획 실시부가 8월 31일(현지시각) 발표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23.9% 역성장세를 보여, 과거 최대의 침체를 기록했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1일 보도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확대를 억제하기 위한 봉쇄(Lockdown) 조치로 개인소비와 설비투자가 줄었다. 정부나 중앙은행에 대해 추가 경기 자극책과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압력이 강해졌다. 시장 예상은 -18.3%였으나 더욱 악화됐다. 인도는 지난 3월 하순, 매우 엄격한 봉쇄 조치를 도입했으며, 봉쇄 중에는 개인소비와 민간투자, 수출이 모두 급감했다. 특히 건설분야는 무려 -50.3%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4월부터 시작된 올해 경제가 -10% 가까이로 위축, 194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최대 침체로 수백만 명이 빈곤에 내몰릴 것으로 보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5월 은행 대출에 대한 신용보증과 빈곤층에 대한 곡물 배급을 포함한 266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다만 소
홍콩 경제 먹구름. 홍콩 정부는 신종 코로나에 따른 글로벌 경제활동 정체와 미-중 관계 긴장 등으로 홍콩 경제의 단기 전망을 불투명하게 내다보고 있다.(사진 : 브래태니카 백과사전) 홍콩 정부가 29일 발표한 2020년 4~6월기의 실질 역내 총생산(GDP) 성장률 속보치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으로 전년 동기비로 9.0%감소가 되었다. 교도통신 30일 보도에 따르면, 또 올 1~3월기의 실질 GDP 성장률을 5월 발표의 확정치 -8.9%를 다시 수정, -9.1%로 낮췄다. 이는 통계가 작성된 1974년 이후 분기 기준 사상 최대 하락률이다. 특히 관광업이 큰 영향을 받았고, 서비스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6% 감소로 큰 폭으로 침체됐고, 과거 최대의 하락률이 됐다. 또 음식점의 입점 제한 등이 요식업이나 소매업에 영향을 미쳐, 개인소비가 전년 동기대비 14.5%감소, 마찬가지로 하락률은 과거 최대가 됐다. 홍콩 정부는 신종 코로나에 따른 글로벌 경제활동 정체와 미-중 관계 긴장 등으로 홍콩 경제의 단기 전망을 불투명하게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