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건강을 중시하는 흐름이 일상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즐거움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몸에 이로운 선택을 지향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가 소비 시장의 핵심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 건강을 위해 맛·식감·향·감성 소비를 희생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건강과 즐거움의 공존을 추구하는 소비 가치관이 표준으로 자리잡는 모습이다. 헬시 플레저 트렌드는 단순히 칼로리나 성분을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마시는 즐거움·먹는 즐거움·라이프스타일 만족감을 유지하면서 건강 요소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소비 형태가 특징이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심리적 만족감과 자기 보상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관련 제품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 트렌드는 식품과 음료, 알코올, 외식, 뷰티·헬스케어, 패션·피트니스 등 여러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건강함 + 재미’라는 감성 방식을 제품·브랜드 전략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저도수·저칼로리 소주 및 맥주⟩,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간편식⟩, ⟨무설탕·프로틴 강화 음료⟩, ⟨클린 라벨 간식⟩ 등이 꼽힌다. 전문가들은 헬시 플레저가 일시적 유행을 넘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건강을 챙기면서도 음주의 즐거움은 놓치지 않으려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소비 트렌드가 소주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낮은 도수·저칼로리·부드러운 풍미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늘자, 국내 주요 주류업체들이 저도수 소주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주류업계에 따르면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가 대표적인 맞대응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두 회사는 서로 다른 콘셉트와 제품 포지셔닝을 통해 저도수 소주 시장을 확장하면서 시장 선점에 나섰다. ■ 하이트진로 “부드러운 고급 증류식 소주” 전략 하이트진로는 부드러운 목넘김과 고급 증류식 풍미에 초점을 맞추며 신규 라인업을 강화했다. 올해 2월 출시된 ‘일품진로 마일드’(16.9도)는 기존 일품진로 대비 8.1도 낮춘 도수를 앞세웠다. 100% 국내산 쌀을 사용한 중간 원액만을 사용해 증류식 소주의 풍미는 유지하되 가벼운 음용감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2024년 3월 내놓은 ‘진로골드’(15.5도)는 희석식 소주 중에서도 낮은 도수로 포지셔닝하며, 저도수 희석식 시장 역시 본격 겨냥했다. ■ 롯데칠성음료 “맛·향으로 마시기 쉬운 소주”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