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25.8℃맑음
  • 강릉 27.3℃구름조금
  • 서울 26.6℃맑음
  • 대전 25.0℃구름많음
  • 대구 22.6℃흐림
  • 울산 23.8℃흐림
  • 광주 24.8℃구름많음
  • 부산 27.2℃흐림
  • 고창 25.2℃구름조금
  • 제주 24.5℃
  • 강화 25.7℃맑음
  • 보은 24.4℃구름많음
  • 금산 25.9℃구름많음
  • 강진군 26.3℃구름많음
  • 경주시 22.1℃흐림
  • 거제 25.3℃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2025.10.10 (금)

포스코인터내셔널, 세계 2위 흑연 광산 개발 본격화…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강화

“탄자니아 마헨게 흑연 광산 착공…포스코, 배터리 소재 자립화 박차”
“중국 의존 줄이고 안정적 공급망 확보…포스코의 전략적 투자”
“세계 2위 흑연 매장지 개발로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 확보”

 

경제타임스 이준오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흑연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해 탄자니아 마헨게 지역의 흑연 광산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이 광산은 매장량 약 600만 톤으로 세계 2위 규모를 자랑한다.

 

지난 10월 9일(현지시간),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탄자니아 모로고로주 울랑가 지역에서 마헨게 흑연 광산 착공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중남아프리카지역담당 김대영, 탄자니아 광물부 장관 앤서니 마분데, 블랙록마이닝 CEO 존 드 브리스, 주탄자니아 대한민국대사 안은주 등 주요 인사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호주의 자원개발기업 블랙록마이닝이 주도하며, 포스코그룹은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미국, 한국, 일본, EU 등 주요국이 추진하는 ‘광물안보 파트너십(MSP)’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흑연은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현재 중국이 세계 공급량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흑연에 대해 최대 16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예비 결정하면서 공급망 다변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21년 포스코홀딩스를 통해 블랙록마이닝에 750만 달러를 투자하며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이후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3년과 2024년에 각각 연간 3만 톤 규모의 흑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유상증자와 4000만 달러 추가 투자 계약이 완료되면 포스코그룹의 지분은 19.9%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마헨게 광산은 2028년부터 상업 생산을 시작하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연간 6만 톤의 천연흑연을 약 25년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이 물량은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생산에 투입되어 그룹 내 이차전지 소재 자급률을 크게 높일 전망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광산 개발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자원개발 역량을 확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국내 광물 안보와 글로벌 배터리 소재 공급망 안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같은 섹션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