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타임스 고은정 기자 | 한국투자증권이 개인 투자자의 투자 역량 향상과 건전한 투자 문화 조성을 위해 주식 투자자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교육은 11월 한 달 동안 서울 가락동 교육센터에서 총 8회에 걸쳐 진행된다. 주식 거래 초보자도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과 홈트레이딩시스템(HTS) 사용법을 중심으로 구성된 입문 과정이다. 주요 강의 내용은 △MTS 매매 설정 및 특화 주문 방법 △HTS를 활용한 셀프 매매 전략 △모바일 해외주식 주문 방법 등 실전 투자에 바로 활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보이스피싱 예방 등 금융 보안 교육도 포함돼, 투자자 보호 측면도 강화했다. 교육은 한국투자증권 고객이면 누구나 무료로 신청할 수 있으며, 강의별 참석 인원은 선착순 34명으로 제한된다.
경제타임스 김은국 기자 | 중국이 ‘21세기 석유’로 불리는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를 앞세워 세계 공급망을 다시 흔들고 있다. 채굴·제련·수출 전 과정을 국유 그룹이 통제하는 ‘중국희토그룹’ 중심의 OPEC형 구조가 완성되면서, 글로벌 산업이 자원 패권의 새로운 전장으로 들어섰다. 미국·일본·한국 등 주요국이 핵심광물 확보전과 공급망 다변화에 총력전을 벌이는 가운데,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 전략’이 글로벌 기술패권의 향방을 가를 최대 변수로 부상했다. 최근 유진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채굴·제련·수출 전 과정의 통제 정책을 강화하고, 6대 국유 희토류 그룹 중심으로 산업을 재편하면서 사실상 ‘희토류 OPEC’ 체제 구축에 나섰다 ■ “총량 통제→수출 규제→산업 재편”…중국의 ‘희토류 카드’ 진화 중국의 희토류 산업 통제는 2006년 채굴 총량 제한 정책에서 출발했다. 이후 정제·분리·가공 단계까지 관리 범위를 확대하며 희토류 생산 전 주기를 국가가 관리하는 체제로 진화했다.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댜오위다오) 사태를 계기로 중국은 대일본 수출을 중단하며 희토류를 ‘외교·경제적 협상 카드’로 활용했다. 그 결과 희토류 금